코로나19 회복+원자재값 상승 '에브리싱 랠리'가 인플레 촉발
공개석상서 '인플레' 언급한 건 2011년이 마지막
그동안 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을 놓고 "일시적"이라며 선을 긋던 정부 태도가 바뀌고 있다. 미국의 대규모 재정·통화 완화정책에 뒤따라 자산과 원자재 등 그야말로 '모든 것'의 가격이 치솟는 '에브리싱 랠리'가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공식 석상에서 인플레 우려 가능성을 언급한 것도 2010년대 초반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정부는 인플레이션이 본격화하면 미국이 조만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도 나선 상태다.
기획재정부는 17일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논의된 ‘바이든 정부의 경제정책 점검 및 시사점’에서 "인플레이션 본격화와 금리 상승 우려가 불확실 요인"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고 선을 그어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조의 변화가 엿보이는 것이다.
정부가 인플레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하고 나선 것은 물가관계장관회의가 매주 열리던 2011~2012년 이후 약 10년 만이다. 당시에는 금융위기를 벗어나는 과정에서 국제유가가 1배럴당 100달러 이상으로 치솟는 등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까지 거셌고, 소비자물가상승률도 4.7%(2011년 8월)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후 2012년 연간 물가상승률이 2.2%를 기록한 뒤, 연간 기준으로는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밑돌면서 정부의 인플레 우려도 없었다. 2017년 5월 물가상승률이 현재보다 높은 수준인 2.5%를 기록한 바 있지만, 당시에는 2016년 저유가의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것으로 봤다.
하지만 최근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경제가 코로나19 국면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유가뿐 아니라 원자재, 곡물 등 물가의 빠른 상승이 진행되는 이른바 ‘에브리싱 랠리’ 현상이 나타나자 정부는 바짝 긴장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이 계속 확장적인 재정·통화 정책을 지속한다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정부는 바이든 정부의 경제 정책과 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의 연관성을 설명하며 "과도한 재정지출이 강한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다”는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의 기고문을 인용하기도 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개인소비지출(PCE)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1.8%에서 2.4%로 대폭 상향한 것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부의 우려를 높였다.
정부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압력으로까지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시장 동향을 계속 살핀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급변하면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적기에 대응해야 한다"며 "금융시장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국제 신용평가사, 해외투자자들과 소통하고, 미 정부와 환율분야 협의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