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리뷰가 벼슬인가요?' 영수증에 딸기 그려 달라는 손님도
알림

'리뷰가 벼슬인가요?' 영수증에 딸기 그려 달라는 손님도

입력
2021.06.24 14:00
수정
2021.06.24 18:25
0 0

새우튀김 환불 사망사건 계기로 다시 주목
누리꾼들 "배달앱 이후 무리한 요구 많아져"

24일 한 쇼핑 정보 커뮤니티에 공유된 블랙컨슈머(악성소비자)의 행태 중 일부.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24일 한 쇼핑 정보 커뮤니티에 공유된 블랙컨슈머(악성소비자)의 행태 중 일부.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새우튀김 환불을 요구받다 스트레스로 사망한 분식점 점주의 사연이 알려지면서 그간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됐던 기상천외한 고객 요청사항들이 재공유되며 공분을 일으키고 있다.

24일 한 온라인 쇼핑 정보 커뮤니티에는 '요즘 자영업 실태'라는 글이 올라왔다. 그동안 자영업자 커뮤니티에 공유됐던 '블랙컨슈머(악성 소비자)들의 지나친 요청사항'들을 모은 것이다.

게시글에 첨부된 영수증을 보면 '서비스 음식을 많이 달라'고 당당하게 요구하는 것은 물론, '포장이 잘되면 리뷰를 잘 쓰겠다'며 대놓고 리뷰로 흥정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리뷰를 대가로 서비스 음식을 많이 달라고 요청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리뷰를 대가로 서비스 음식을 많이 달라고 요청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리뷰를 대가로 점주에게 겁을 주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리뷰를 대가로 점주에게 겁을 주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자신이 '리뷰 블로거'라며 지나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자신이 '리뷰 블로거'라며 지나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단골이라며 특정 서비스 음식을 요구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단골이라며 특정 서비스 음식을 요구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한 자영업자는 "매일 아침 꾸준히 주문하는 손님이 있었다. 참 감사한 손님이다 싶었는데 갑자기 얼마전부터 리뷰 서비스로 엄한 걸 요구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처음엔 단가가 높지 않은 거라 챙겨줬는데 점점 '생딸기 100% 주스', '자몽 착즙 주스'를 달라며 요청 사항이 과해졌다"고 했다. 이어 "한번 에둘러서 거절을 했더니, '특정 음식을 서비스로 주지 않으면 주문 전체를 취소하겠다'는 요청이 들어왔다"며 허탈해했다.

그밖에도 '돗자리를 사달라'거나 '가게에 반창고가 있으면 갖다달라'는 등 가게와 상관없는 요청을 하는 사람도 있었다.

가게와는 관련 없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가게와는 관련 없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영수증에 딸기를 그려달라는 블랙컨슈머(악성 소비자).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영수증에 딸기를 그려달라는 블랙컨슈머(악성 소비자).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또 다른 자영업자는 "'영수증에 딸기를 그려달라'는 요청을 받아 바쁜 와중에 그렸다"며 "안 그려주면 리뷰 테러할까봐 이왕 그리는 거 마음에 들게 색칠까지 했다"고 말했다.

배달 기사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배달 기사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경우. 커뮤니티 게시판 캡처

배달 기사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오토바이 소리 때문에 가족들이 다 깨니 주차를 멀리해 주고 걸어서 배달해 달라'거나 '음식이 식어 있으면 픽업시간을 확인하고 돌려보내겠다'는 엄포까지 놓았다.

누리꾼들 "리뷰 제도 역기능도 많아"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와 경제민주화실현전국네트워크, 전국가맹점주협의회 등 시민사회 단체 회원들이 22일 오전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이츠 등 음식 배달앱의 리뷰·별점 제도가 블랙컨슈머(악의적 소비자)를 양산하고 있다며 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배달앱 측이 점주의 방어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우한 기자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와 경제민주화실현전국네트워크, 전국가맹점주협의회 등 시민사회 단체 회원들이 22일 오전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이츠 등 음식 배달앱의 리뷰·별점 제도가 블랙컨슈머(악의적 소비자)를 양산하고 있다며 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배달앱 측이 점주의 방어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우한 기자

블랙컨슈머의 행태를 접한 한 누리꾼은 "글만 봐도 화가 나는데 실제 영업하시는 분들은 저런 요구를 받으면 얼마나 화가 날까"라며 자영업자의 고충에 공감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진짜 리뷰를 쓰는지 궁금하다"며 "호의가 계속되니 권리인 줄 아는 것 같다"고 했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이 없었을 때는 이런 무리한 요구도 없었다", "리뷰가 벼슬도 아니고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더 많은 것 같다. 리뷰 제도를 폐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한 누리꾼은 "리뷰 제도를 유지해야 '리뷰 거지'(리뷰를 대가로 추가서비스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갑질하려고 앱을 더 많이 이용하니 업체에선 없애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윤주영 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