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무더위가 입맛을 앗아갔어요…2주 지나면 면역력 크게 저하

입력
2021.07.25 21:00
20면
0 0
무더위가 연일 지속되면서 입맛이 크게 떨어졌다고 '여름철 식욕부진'을 호소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무더위가 연일 지속되면서 입맛이 크게 떨어졌다고 '여름철 식욕부진'을 호소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푹푹 찌는 무더위가 연일 지속되면서 식욕이 크게 떨어졌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여름철 식욕부진’이다. 이 같은 입맛이 없는 상태가 2주 이상 지속되면 영양실조, 우울증 등이 생길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날씨가 더우면 입맛이 왜 떨어질까? 우선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때 위장 운동이 저하되고 소화 효소도 덜 분비되면서 식욕이 떨어지는 것이다.

여름에 음식을 먹으면 열이 많이 발생하는데 몸은 열을 덜 내기 위해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을 분비한다. 이 렙틴 호르몬 때문에 식욕이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냉방기구 사용으로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크면 자율신경의 불균형이 나타나 식욕 중추가 억제될 수 있다.

박주현 고려대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실내외 온도차가 8도 이상인 곳을 왔다 갔다 하면 외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지만 소화ㆍ배설 등에 관여하는 부교감신경은 억제돼 식욕이 감소한다”고 했다.

이 밖에 더우면 몸은 체온 유지에 필요한 기초대사량을 줄이면서 에너지 소비를 덜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연히 식욕이 떨어진다. 덥다고 움직이지 않으면 보충해야 할 열량이 줄어 식욕이 저하한다.

이 같은 무더위로 인한 식욕부진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된다. 하지만 식욕부진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이로 인해 몸무게가 5% 이상 줄었다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조현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식욕부진이 오래되면 영양실조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때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각종 질병에 취약해지는데, 특히 여름철에는 장염ㆍ식중독 등에 노출되기 쉽다”고 했다.

평소 식욕이 좋지 않은 고령인이라면 여름에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황희진 국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고령인은 위장ㆍ후각ㆍ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고 탈수에도 취약해 식욕부진 증상이 더 심하기에 영양 섭취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고 했다.

이 같은 식욕부진에서 벗어나려면 △조금씩 자주 먹기 △적절한 운동 하기 △달고 찬 음식 먹지 않기 등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

입맛이 없으면 식사량을 천천히 늘리고 조금씩 자주 먹으면 식욕이 다시 생길 수 있다. 다만 탄수화물ㆍ지방이 많은 음식을 주로 먹으면 살이 찌고 신진대사를 늦추는 등 건강에 해로워 피해야 한다. 기름기 적은 닭고기ㆍ생선 등 양질의 단백질 섭취를 늘리고, 비타민ㆍ미네랄이 풍부한 채소ㆍ과일도 적절히 먹는 것이 좋다.

날씨가 덥다고 집안에만 꼼짝하지 않고 있으면 에너지가 소비되지 않는다. 그러면 잉여 에너지가 식욕을 떨어뜨리고 밤에 잠도 제대로 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황희진 교수는 “운동은 식욕을 부르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해가 떠 있는 시간대를 피해 30분 정도 걷기ㆍ자전거 타기 등 적절한 운동을 하고 미지근한 물로 씻어 숙면을 유도하면 결과적으로 식욕이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입맛이 떨어진다고 차가운 아이스크림ㆍ음료수를 많이 먹으면 소화 기능이 떨어지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조현 교수는 “오미자ㆍ매실 등 신맛이 나는 음료는 침과 위산 분비를 촉진해 소화 기능을 개선하므로 자주 마시면 입맛을 돋우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식욕부진이 계속된다면 ‘신경성 식욕부진’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은 과도한 불안이나 정서를 지나치게 통제해서 나타나는 일종의 섭식장애다. 원인은 아직 명확하진 않지만 과도한 다이어트 집착 같은 정신의학적인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의 주증상은 최소한의 정상 체중 유지에 대한 거부, 체중 증가에 대한 극심한 공포, 체형 또는 신체 크기에 대한 심각한 지각장애 등이다. 거식증이 대표적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이 장기화하면 무월경이나 간 기능 수치 상승, 대뇌 기능 장애 등이 생길 수 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