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1000m 9개 봉우리 영남알프스... 올해 3만 명이나 완등한 이유

입력
2021.11.17 04:30
20면
0 0

<133> 울주 언양읍 영남알프스와 반구천

해발 900m 영남알프스 간월재의 억새평원. 억새 꽃은 거의 떨어진 상태지만 불어오는 바람만큼 좌우로 펼쳐지는 풍광이 시원하다.

해발 900m 영남알프스 간월재의 억새평원. 억새 꽃은 거의 떨어진 상태지만 불어오는 바람만큼 좌우로 펼쳐지는 풍광이 시원하다.

높은 산이 울타리를 두르고 있는 곳, 울산 울주군이다. 울주에서도 서쪽 언양읍은 고려 인종 때(1143년)부터 독립된 현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울산에 편입됐다. 읍내 한가운데에 언양읍성이 있다.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평지에 정사각형으로 쌓은 성이다. 삼국시대부터 토성이 있었고, 조선 연산군 때(1500년)에 돌로 쌓았다고 전해진다. 세월이 흘러 허물어지고 훼손됐지만 근래에 남문을 복원했고, 현재 내부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읍내에서 서쪽으로 보면 높은 산줄기가 또 성벽처럼 둘러져 있다. 해발 1,000m가 넘는 고봉으로 연결된 산줄기는 언젠가부터 영남알프스로 불린다. 높을 뿐만 아니라 경관도 빼어나다. 공업 도시 울산의 산소 울타리다. 알고 보면 울산은 바다보다 산이 더 멋진 곳이다.


바람처럼 시원한 풍광, 간월재가 억새평원이 된 사연

간월재(900m)는 언양에서 밀양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다. 빠른 길이라고 하지만 이용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을 정도로 높고 험하다. 상북면의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에서 출발하면 가파른 오르막으로 표고 700m를 극복해야 한다. 안내판에는 1시간 50분을 제시하고 있는데, 어디까지나 산을 잘 타는 사람 기준이다. 3㎞ 남짓한 거리지만 3시간 이상 잡아야 한다. 현재 산자락 아래는 가을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어 아쉽지 않을 만큼 단풍을 즐길 수 있다.

달을 보는 고갯마루, 간월재는 사찰 이름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복합웰컴센터 아래에 간월사 터가 있다. 전각은 모두 사라지고 1979년 세운 불당 안에 간월사지석조여래좌상이 모셔져 있다. 울산지역에서 보물로 지정된 유일한 불상이다. 받침대와 광배는 없어졌지만, 전체 형태는 잘 보존된 편이다. 금당 터 좌우에는 2기의 삼층석탑이 남아 있다. 석탑을 배경으로 간월재에서 이어지는 산 능선이 멋스러운데, 주변에 우후죽순으로 들어선 숙박업소가 못내 거슬린다. 간월사지는 등억온천단지 한복판에 위치한다.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에서 간월재로 이어지는 계곡. 능선 부근은 이미 갈색이지만 계곡 아래는 가을이 절정이다.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에서 간월재로 이어지는 계곡. 능선 부근은 이미 갈색이지만 계곡 아래는 가을이 절정이다.


등억온천단지 한복판에 위치한 간월사 터. 보물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이 전각 안에 보존돼 있다.

등억온천단지 한복판에 위치한 간월사 터. 보물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이 전각 안에 보존돼 있다.


간월사지 삼층석탑 뒤로 간월재에서 연결되는 영남알프스 능선이 보인다.

간월사지 삼층석탑 뒤로 간월재에서 연결되는 영남알프스 능선이 보인다.


등억온천지구 아래 작괘천 풍경. 술잔처럼 움푹 파인 넓은 암반 가에 작천정이 세워져 있다.

등억온천지구 아래 작괘천 풍경. 술잔처럼 움푹 파인 넓은 암반 가에 작천정이 세워져 있다.

온천단지 아래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흐르는 작괘천은 예부터 언양 주민들의 휴식처였다. 오랜 세월 물살에 닳아 움푹움푹 파인 바위 형상이 마치 술잔을 걸어 둔 것과 같다고 하여 작괘천(酌掛川)이라 불렀다. 백옥처럼 희고 반질반질한 바위가 넓게 분포하고 있는 곳에 작천정이라는 정자가 세워져 있다. 고려 충신 정몽주가 글을 읽던 자리이자 언양 지방 3·1운동의 중심지였다.

간월재 북쪽 배내고개에서 출발하면 등억온천에서 오르는 것보다 걷기가 한결 수월하다. 해발 600m 부근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고갯마루에서 바로 치고 올라 산등성이로 걷는 길과 바로 아래 사슴농장에서 임도를 따라 걷는 코스가 있다. 제대로 등산을 즐기려는 이들은 산등성이 길을 선택하지만, 대개는 경사가 완만한 임도를 따라 걷는다. 간월재까지 약 6㎞로 꽤 먼 거리지만 영남알프스의 장엄한 산줄기를 두루 살필 수 있는 코스다. 지금은 단풍이 짙어가는 계곡 아래의 늦가을 정취와 갈색으로 변해가는 능선 부근의 초겨울 풍경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영남알프스 9봉 중 간월산(1,069m)과 신불산(1,159m)을 비교적 수월하게 오를 수 있다는 것도 이 길의 장점이다. 영남알프스 9봉은 두 봉우리 외에 가장 높은 가지산(1,241m)을 비롯해 운문산(1,188m), 천황산(1,189m), 재약산(1,108m), 영축산(1,081m), 고헌산(1,034m), 문복산(1,015m)을 일컫는다. 울주군과 경남의 밀양 양산, 경북의 청도 경주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듣기만 해도 아찔한 높이지만 울주군이 올해 영남알프스 9봉 완등자에게 기념 은화를 수여하는 이벤트에 지금까지 3만 명 가까이 몰렸다. 애초 1만 명을 예상하고 은화를 제작했지만 진작에 동이 나 3만 개로 늘렸는데, 현재 3,000개 정도만 남은 상태다. 6만5,000원 상당의 은화는 31.1g, 지름 3.8cm 순은으로 만든 원형이다.

배내고개에서 간월재로 가는 임도에서는 영남알프스의 우람한 산줄기가 두루 조망된다.

배내고개에서 간월재로 가는 임도에서는 영남알프스의 우람한 산줄기가 두루 조망된다.


간월산에서 간월재로 넘어가는 길. 고도가 높고 바람이 거세기 때문에 따뜻한 옷차림이 필수다.

간월산에서 간월재로 넘어가는 길. 고도가 높고 바람이 거세기 때문에 따뜻한 옷차림이 필수다.


간월재 억새평원이 형성된 건 일제강점기 스키장을 짓기 위해 산등성이의 나무를 베어 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간월재 억새평원이 형성된 건 일제강점기 스키장을 짓기 위해 산등성이의 나무를 베어 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간월재 동쪽, 신불산에서 치마폭처럼 흘러내린 산줄기 아래에 등억온천단지가 보인다.

간월재 동쪽, 신불산에서 치마폭처럼 흘러내린 산줄기 아래에 등억온천단지가 보인다.


결코 쉽지 않은데도 도전하는 이들이 왜 이렇게 많을까? 걸어보면 그 매력이 짐작된다. 임도를 따라 굽이굽이 돌며 천천히 오르다 보면 우락부락한 근육질 산줄기가 자못 이국적인 풍광을 자아낸다. 그럼에도 악산은 아니다. 높은데 위압적이지 않고, 단단하지만 부드럽다. 간월산과 신불산 사이 간월재에 닿으면 드넓은 억새평원이 펼쳐진다. 산등성이를 넘는 거센 바람에 억새 꽃(열매)은 거의 떨어졌지만 파도처럼 일렁거리는 은회색 물결이 장관을 이룬다. 능선 너머 언양 쪽 산줄기는 한복의 치마폭처럼 날렵하면서도 주름이 곱다. 그 아래로 올망졸망한 마을과 낮은 산들이 펼쳐지고, 멀리 동해바다까지 아스라히 조망된다. 불어오는 바람만큼이나 풍광이 시원하다.

간월재 억새평원은 사실 자연의 산물은 아니다. 일제강점기에 스키장을 건설하기 위해 산꼭대기의 나무를 모두 베어낸 게 시발점이다. 그러나 기대했던 만큼 눈이 내리지 않아 스키장은 무산됐다고 한다. 이후 인삼재배 단지와 목장으로 개발하려고 했지만 그것도 여의치 않았고, 영화 촬영세트를 지으려는 계획도 끝내 무산됐다. 결국 산등성이 빈 공간을 차지한 건 생명력 강한 억새였다. 영남알프스 억새 평원은 재약산 사자평고원이 가장 넓고, 간월재에서 신불산, 영축산으로 이어지는 4㎞ 구간 산 능선에도 넓게 분포하고 있다.

가지산 아래에 위치한 석남사 경내로 이어지는 길의 단풍이 곱다.

가지산 아래에 위치한 석남사 경내로 이어지는 길의 단풍이 곱다.

배내고개에서 언양 방향으로 내려오는 길목의 석남사는 이맘때 절정의 단풍을 뽐낸다. 양산 통도사의 말사로 가지산 아래에 아늑하게 자리 잡은 석남사는 비구니의 수련 도량으로 유명하다. 신라 헌덕왕 16년(824) 창건한 절이지만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1959년에 복원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입구에서 경내에 이르는 500m가량의 숲길이 운치 있다.

반구대암각화 보러, 선사시대로 가는 명품 숲길

언양읍 북측 대곡천은 선사시대 유적인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울산암각화박물관에서 계곡을 따라 상류 약 1㎞ 거리에 천전리각석, 하류 약 1.2㎞ 거리에 반구대암각화가 있다. 계곡을 따라 걷는 아늑한 숲길이 탐방객을 선사시대로 안내한다.

문화재청은 ‘울주 반구천 일원’을 지난 4월 명승으로 지정했다. 반구천은 조선시대에 대곡천을 부르던 명칭이다. 절벽과 협곡, 물길과 습지 등이 어우러진 수려한 자연 경관에 역사 유적이 더해 복합문화경관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반구대암각화 가는 길의 대곡천(반구천) 풍경. 휘휘 돌아가는 물길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있다.

반구대암각화 가는 길의 대곡천(반구천) 풍경. 휘휘 돌아가는 물길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있다.


올해 명승으로 지정된 반구천 계곡이 절정의 가을 색을 뽐내고 있다. 지난 12일 풍경이다.

올해 명승으로 지정된 반구천 계곡이 절정의 가을 색을 뽐내고 있다. 지난 12일 풍경이다.


반구대암각화 가는 길에 단풍과 대숲이 어우러져 있다.

반구대암각화 가는 길에 단풍과 대숲이 어우러져 있다.


탐방로는 반구천 물길을 따라 산자락을 휘휘 돌아간다. 반구대(盤龜臺)는 거북이 엎드려 있는 모양의 바위를 일컫는다. 초입에 반구서원이 있고, 바로 앞 계곡에 바위 절벽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그 모습이 거북 같아 반구대라는 이름이 붙었고, 정몽주가 유배 중 머물렀던 곳이라 해서 포은대라고도 부른다. 명확히 고증되지는 않았지만 겸재 정선(1676~1759)이 ‘공회첩(孔懷帖)’에 남긴 반구 그림 역시 이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구대에서 암각화까지 가는 길에는 느린 물길이 만들어 놓은 늪지대도 있고, 짧은 구간 대나무 숲길도 있다. 깊어가는 가을이 계곡 깊숙이 내려앉았다. 아쉽게도 전망대에 도착해도 암각화를 생생하게 보기는 어렵다. 그림이 새겨진 바위는 개울 건너 100m 가까이 떨어져 있다. 망원경으로 관찰하거나 안내판으로 옛 화공(석공)의 솜씨를 유추할 뿐이다.

반구대암각화 전망대에 세워진 그림 안내판.

반구대암각화 전망대에 세워진 그림 안내판.


하루 한 차례 울산암각화박물관에서 진행하는 탐사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가까이에서 그림을 볼 수 있다.

하루 한 차례 울산암각화박물관에서 진행하는 탐사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가까이에서 그림을 볼 수 있다.

하루 단 한 번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다. 그림의 윤곽이 가장 또렷하게 보이는 매일 오후 2시 30분, 암각화박물관에서 진행하는 답사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된다. 전화(052-229-4795)로 하루 15명 안팎으로 예약을 받고, 인원이 차지 않을 경우 현장 신청을 받는다.

반구대암각화는 너비 8m, 높이 4m 수직 절벽에 새겨져 있다. 거북 호랑이 사슴 등 다양한 동물그림이 있지만 고래가 대표적이다. 고래사냥에 나선 배와 어부는 물론, 새끼를 등에 업은 귀신고래, 물 위로 뛰어오르는 혹등고래 등 그 종류를 고증할 수 있을 만큼 표현이 세밀하다. 고래 도시 울산의 상징적인 그림이다.

대곡천 상류의 천전리 각석. 바로 앞에서 선사시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대곡천 상류의 천전리 각석. 바로 앞에서 선사시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천전리각석 부근 대곡천에 가을이 곱게 내려앉았다.

천전리각석 부근 대곡천에 가을이 곱게 내려앉았다.


상류의 천전리각석은 바로 앞에서 생생하게 볼 수 있다. 동물 그림뿐만 아니라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는 동심원 마름모 등의 문양과 신라시대 문자도 새겨져 있다. 아늑한 계곡의 정취와 어우러져 신비로움을 더한다.

반구천 계곡에는 공룡 발자국도 여러 군데 남아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다. 미스터리로 가득한 선사시대 유물은 말할 것도 없다. 암각화박물관에서 미리 설명을 들으면 좀 더 깊이 있게 탐방을 즐길 수 있다.

울주=글·사진 최흥수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