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 10주기
박용만 대한상의 명예회장이 부치는 글
편집자주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명예회장은 오는 29일 고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현 더불어민주당) 의장의 10주기를 맞아 한국일보에 특별기고를 보내왔다. 두 사람은 경기고 선후배 관계로, 사회에서 인연을 맺은 뒤 서로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2005년 6월 박 명예회장의 장남 결혼식 당시 혼주석에 김 전 의장이 앉아 있었을 정도다. 2011년 12월 김 의장 타계 이후 박 명예회장은 매년 추모식에 참석하며 고인의 뜻을 기려 왔다. 지난 2018년 영화 '1987'을 관람한 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김 전 의장을 떠올리며 영화 '남영동 1985' 등을 언급하는 등 장문의 감상을 남겨 화제가 됐다.
김근태 형은 내가 쉽게 '형'이라 부르기 어려울 정도로 내게는 '선배'였다. 기분이 좋고 술에 풀어지면 '형'이라 불렀고, 그 외에는 반드시 '형님'이라 불렀다. 나이로서만이 아니라 그렇게 불러야 내 마음이 편한, 존경과 신뢰의 대상이었다.
워낙 분초를 아껴 가며 바쁘게 지내는 사람이니, 보고 싶다는 생각이 굴뚝 같아지면 저녁 자리가 끝나가는 아홉 시 반쯤 전화를 했다. 그리고 "술자리를 벌여 놓았으니 들러서 가시라"며 유혹했다. 그러면 "그래 내가 간다"든가 거두절미하고 "어디야?"하는 대답 대신, "응, 나 갈 수 있어"라고 답을 했다. 그 대답이 참으로 편하고 정겨웠다. 그 말을 하는 표정이 그림처럼 그려졌다. 반쯤 미소를 지으며 입꼬리가 한쪽으로 올라간 모습으로 대답을 하는 얼굴이 목소리에 담겨 전해져 왔다. 지금도 생각이 많아 마음이 무거운 저녁, 집으로 향하는 길에 손에 들린 전화기를 내려다보면 그 목소리가 들려올 듯싶어 미소와 회한이 겹쳐져 온다.
김근태 형이 살아 계실 때 그토록 귀여움을 받았는데도 정작 나는 정치와 사회에 귀도 멀고 생각도 그 깊이가 얕기 그지없었다. 좋게 말하면 내게 주어진 사업의 수행과 그 사업의 번창 외에는 크게 생각이 없어 산 것이고, 면도날을 들이대듯 나를 재단해 보면 비겁한 삶이라 할 수밖에 없었다. 바로 서는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몸과 생을 던진 분이 곁에 있었는데도 나는 정치와는 상관없다는 명분으로 귀도 닫고 생각도 접고 살았다.
세월이 가며 가신 형의 생각과 말들 하나하나가 새롭게 교훈과 길잡이가 되어 돌아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무덤 앞에 써 있는 '민주주의자 김근태'라는 수식어의 무게가 천근만근이 되어 돌아오기 시작했다. 민주주의의 절차에 의해 당선된 리더들이 민주주의를 깔아뭉개고 민주주의를 입에 명분으로 달고 사는 사람들이 정작 행동은 자신 앞의 권력이나 득실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았다. 상처 받고 아픈 사람들 앞에 나서 "나를 따르라"고 소리 치는 사람은 많아도, 그 사람들 마음을 강건하게 해주는 희망의 등대 같은 리더는 보이지 않는다. 설사 내가 가진 생각과 꼭 같지는 않고 심지어 조금 다른 점이 있더라도, 단직한 그 사람을 따르는 사람들이 헛되어 보이지 않으면 그걸로 참 리더인 법인데, 그런 사람이 보이지 않는 게 아쉽다.
김근태 형이 살아 있을 때 나는 볼멘소리로 푸념을 했다. 나서야 할 때 앞으로 밀고 나가면 안 되냐고. 하지만 나서고 싶은 사람들의 팔꿈치가 밀어대면 그는 그냥 진 듯이 뒤로 물러나는 사람이었다. 결과가 급할 때면 그냥 우기고 결론지어 버리면 안 되냐고 졸라도 민주적으로 토론부터 해보자고 해서 숨이 넘어가게 만들었다. 그런데 이제는 그 목소리가, 그 답답함이 아쉽고 아쉽다. 갈등과 대립 속에서 존재감을 키우는 이들에겐 사치고 허영이겠지만, 그런 원칙과 절차가 민주주주의고 그 민주주의가 결국 더욱 큰 울림과 더욱 큰 효율을 가져옴을 깨닫고 나니 그 자리에 김근태는 이제 없었다.
경제인들 다르겠나 싶어지기 시작한 것도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급한 성취와 성장을 위한 일이면 모든 것이 정당화되던 시대는 갔다. 사업도 거래도 민주주의의 바탕 위에 일어서지 않으면 시장의 비효율로 이어짐을 우리는 겪고 나서야 알았다.
경제에 민주주의가 웬 말이냐고, 경제와 정치가 왜 뒤섞이느냐고 한다. 아무리 내 과거가 값지고 이룬 것이 많아도 바뀌는 세상에 맞춰 변해 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불편하고 답답해도 필요한 시간과 절차를 쓰지 않으면 결국 뒤떨어지는 결과가 된다. 공정한 거래 질서, 근로자와 사용자의 동반은 선택이 아니다. 그 어떤 생산성과 효율도 불공정과 일방적인 거래를 정당화하지 못한다. 원칙에 비추어 보아도 물론이고 사업의 지속 가능한 성취를 위해서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이 진리를 아직도 배워 가는 중이다.
바보같이 고통을 피할 비겁함을 견디지 못했고, 바보같이 구부러질 줄도 몰라 결국 목숨으로 신념의 값을 치른 사람, 민주주의자 김근태를 생각한다. 나는 순수하고 좋은 형으로, 나를 귀여워해준 형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그 빈자리가 얼마나 큰지 알아갔다. 기업만을 생각하며 살았던 시절 전체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민주주의자 김근태의 힘은 아직도 태풍 같은 위력을 내게 휘두른다. 나라의 지도자를 뽑기 위한 대선의 계절이 오니 10년 전 '희망'이라는 말을 남기고 우리 곁을 떠난 김근태를 향한 그리움이 사무치도록 커진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명예회장·(재)같이 걷는 길 이사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