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맞아야 할 수도 있잖아요. 3차 접종은 최대한 미루려고요."
직장인 김지현(가명)씨는 최근 3차 접종 예약을 취소했다. 2차 접종 완료 후 3개월이 지남과 동시에 부스터샷을 맞을 계획이었지만, 180일인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유효기간이 지나기 직전에 맞으라는 주변의 권유 때문이었다. 4차 접종을 해야 할지도 모르니 조금이라도 백신 접종 횟수를 줄이려면 접종 간격을 벌리는 게 현명하다는 것이었다.
최근 청·장년층 가운데는 김씨처럼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채울 때까지 접종을 미루겠다는 사람이 많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건강한 청장년층도 돌파감염을 막기 위해 늦어도 접종 완료 5개월이 지난 시점부터는 3차 접종을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3차 접종 미뤄 접종횟수 최소화"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달 말을 기준으로 18~59세 인구 중 1,245만 명이 2차 접종 완료 후 3개월이 지나 3차 접종 시기가 도래한다. 이는 전체 3차 접종 대상자(2,593만4,225명)의 50% 정도 규모다. 그러나 이들이 모두 3차 접종으로 이어지진 않는 모양새다. 3차 접종 대상자 대비 접종자 비율은 9일 기준 △50대 54% △40대 32% △30대 32.6% △20대 26.3% △18~19세 51%로 집계됐다. 접종 대상자 중 87.3%가 3차 백신을 맞은 60대 이상과 비교하면 매우 적다.
청장년층이 선뜻 3차 접종에 나서지 않는 데는 'n차 접종' 우려가 크게 작용한다. 대학생 서모(25)씨는 "백신 부작용 발생률이 매우 적다고 하지만, 여전히 두려움이 큰 것은 사실"이라며 "4차 접종 얘기도 나오는 마당에, 빠른 접종으로 방역패스 만료 기간까지 단축해 가며 접종 횟수를 늘리고 싶지 않다"고 했다.
2차 접종 후 몸살을 심하게 앓았다는 20대 직장인 송모씨는 "3차 이후 추가 접종 가능성을 생각하면 접종이 꺼려진다"면서 "방역패스가 만료되면 다소 불편하더라도 PCR 음성확인서를 제출하며 지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접종 시기를 고민하는 게시글에 "굳이 왜 3개월 단위로 맞으려고 하냐" "4차도 맞아야 할 것 같은데, 유효기간 6개월을 채우는 게 좋지 않겠느냐"는 조언이 잇따른다.
접종을 후회하는 이들도 있다. 2차 접종 후 3개월이 지나자마자 3차 접종을 완료했다는 이모(55)씨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일찍 맞았는데, 방역패스 유효기간 종료 시기만 앞당긴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N차 접종 우려 이해... 그래도 5개월 후엔 맞아야"
방역당국은 확진자 수 감소, 효율적 의료 자원 분배를 위해서라도 청장년층이 빠르게 3차 접종에 나서야 한다고 호소한다. 2차 접종 이후 3개월이 지나면 면역 효과가 떨어져 돌파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18~59세의 누적 돌파감염 추정 사례는 지난해 11월 4주까지 10만 명당 127.6명 수준이었는데, 12월 4주차 327.8명으로 증가했다. 돌파감염은 확진자 수 증가로 이어져 중증이나 사망 비율을 높일 수 있고, 의료 체계 부담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전문가들도 n차 접종 가능성에 대비하는 청장년층의 '전략'은 이해가 되지만, 마냥 미루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고 조언한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4차 접종 걱정은 이해가 된다"면서도 "오미크론이 2차 접종만으로는 방어가 되지 않고 접종 후 6개월이 지나면 항체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젊고 건강해도 2차 접종 이후 5개월이 지난 시점부터는 3차 접종을 하는 편이 좋다"고 말했다.
김탁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는 "젊고 기저질환이 없다면 접종 시기를 3~6개월 사이에서 조정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본다"면서도 "정부가 백신 효과와 미접종 위험에 대해 반복적으로 알리며 접종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