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지난해 신속PCR검사
8개월간 확진자 84명 골라내
청소년 방역패스 막힌 교육부
3월 개학 때 초중고 적용 검토
관건은 역시 검사 인력과 예산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5차 대유행 가능성이 닥쳐옴에 따라 교육부가 '서울대 모델'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 모델이란 지난해 서울대가 학교 현장에 도입한 신속PCR검사를 말한다. 일반PCR보다 결과가 일찍 나와, 학교처럼 감염 확산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발빠른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청소년의 경우 백신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법원 결정 때문에 엄격한 방역패스 적용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3월 신학기 때 초중고 등교 정상화 방침을 이어나가려면 서울대 모델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는 것이다.
20일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해 신속PCR검사를 도입해 대면수업 정상화를 이끌었던 서울대로부터 관련 자료를 넘겨 받아, 초중고교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서울대, 현장PCR로 확진자 80여 명 찾아내
서울대는 지난해 교내에서 신속PCR검사를 시행하는 '현장PCR 검사 체계'를 만들어 적용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수업이 전면 중단되는 상황이 이어지자, 대면이 꼭 필요한 수업에 한해서는 PCR검사를 받아서라도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주자는 취지였다.
지난해 4월 16일 학교 안에 코로나19 진단검사소를 처음 설치, 운영하기 시작한 이래 올해 1월 7일까지 8개월간 3만2,214건의 검사를 통해 83명의 확진자를 찾아냈다. 처음에는 연구·실험 때문에 대면 수업이 꼭 필요한 이공대, 자연대 교수 학생 등을 상대로 한 시범사업으로 시작됐으나, 제법 효과가 있다는 평을 얻으면서 참가자들이 점차 확대됐다. 지난해 12월 3주차 때는 한 주에 검사받은 이들만 2,195명에 이르기도 했다.
일반PCR보다 결과 빨리 나오는 신속PCR 활용
서울대의 목표는 당연히 최대한 빨리 확진자를 찾아내자는 것이었다. 대학이라는 특성상 비교적 젊은 층들이라 감염되더라도 무증상이나 경증일 가능성이 높은 데다, 수업이나 연구활동 등으로 캠퍼스 내에서 집단활동이 많기 때문이다. 확진자를 조금이라도 더 빨리 찾아내야 학교 내 n차 감염 및 집단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관련기사 ☞ [단독] 서울대의 대담한 구상… 신속 PCR 검사로 캠퍼스 개방 준비).
그래서 서울대는 신속PCR를 택했다. 신속PCR는 선별검사소에서 사용되는 일반PCR와 같은 원리라 정확성은 높지만, 유전자 증폭 과정이 달라 결과를 1~2시간 만에 알 수 있다. 일반PCR는 결과 도출에 6시간 이상이 걸린다. 또 시간을 아끼려 검체를 외부 시설에다 보내지 않고 학내에서 채취, 진단, 통보까지 일괄 처리했다. 검사 결과 양성이 나오면 반드시 관악구보건소에서 일반PCR검사를 받게 했다. 서울대는 이 체계에다 '현장PCR검사'라는 이름을 붙였다.
9건은 일반PCR 검사보다 빨리 확진자 찾아
교육부가 주목하는 건 서울대 모델이 의외로 효율적이었다는 부분이다. 현장PCR 검사로 양성이 도출된 경우는 104건이었고, 이 가운데 일반PCR검사로 최종 양성이 확정된 경우는 84건이었다. 현장PCR검사와 일반PCR검사 결과 모두 양성으로 일치한 경우는 75건이었다.
거기에다 현장PCR검사가 일반PCR검사보다 빠르게 확진자를 찾아낸 사례도 9건에 이르렀다. 현장PCR에서 양성이 나와 일반PCR를 받았더니 처음엔 음성이 나오다가 나중에 양성이 나온 경우를 말한다. 심지어 교내 현장PCR에서 계속 양성 판정을 받았지만 일반PCR에서 번번이 음성이 나오다가 3번째에야 양성이 나온 경우도 있었다.
서울대 관계자는 "사람들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전파 위험성'인데, 현장PCR를 통해 양성인지 음성인지 빨리 확인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며 "학교나 회사처럼 집단감염 발생 위험이 있는 곳에서는 이 시스템이 괜찮다는 걸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3월 초중고에 도입 가능할까 ... "비용, 인력 문제 고려해야"
교육부는 8개월간에 걸친 서울대의 실험 결과를 분석, 오는 3월 개학에 맞춰 전국 초중고에 적용할 수 있을지 저울질 중이다. 계속해서 전면등교를 미루기는 어렵고, 오미크론 때문에 감염 확산세는 우려되고, 청소년 방역패스를 마냥 옥죄기는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다.
전문가들도 학교처럼 집단감염의 우려가 큰 곳에서는 서울대 모델 도입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역시 걸림돌은 인력과 비용이다. 의료인력을 전국 초중고에 다 배치할 수도 없고, 보건교사가 이 모든 걸 감당해내기도 어렵다.
채윤태 한일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속PCR검사는 어쨌든 PCR 기반이라 신속항원검사보다는 정확도가 높아 집단감염 방지에는 도움을 줄 수 있다"면서도 "진단검사에 지나치게 많은 힘을 쏟으면 치료에 들일 여력이 부족해질 수 있는 만큼, 시행 범위 등을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