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청년 1인 가구 급증… 지원책 세분화·다양화
서울시·부산시, 청년 1인 가구 맞춤형 주택 공급
각 시군, 1인 가구 간 모임 등 사회관계망 형성 지원
1인 가구 지원책이 달라지고 있다. 지원 대상은 청·장년 등 전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주거부터 동아리 활동비 지원, 재무교육까지 내용도 다양하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1인 가구 수는 664만3,354가구로 2010년(414만2,165가구)에 비해 250만1,189가구가 더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 증가분의 74%에 해당하는 수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전체 1인 가구의 19.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30대, 50대, 60대 순으로 나타났다. 한마디로 혼자 사는 청년 가구가 급증했다는 얘기다. 이에 맞춰 독거노인을 위한 돌봄서비스 정도에 그쳤던 각 지자체의 1인 가구 지원책도 변신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단연 ‘주거 지원책’이다. 서울시의 경우 최소 25㎡ 이상 면적이 보장되는 1인 가구 맞춤형 주택을 2026년까지 7만 호 이상 공급한다. 특히 이 가운데 6만9,010가구는 청년들에게 할당해 장기간 임대료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부산시도 원룸이 밀집한 대학가에 여성 친화형 1인 가구 안전 복합타운을 건립한다. 부산도시공사가 장전동과 대연동에 각각 원룸 형태로 40가구씩 모두 80가구가 거주할 수 있는 다가구 주택을 매입한 뒤 범죄예방환경설계(셉테드·CPTED)를 접목한 방범 시설 등을 확충해 1인 청년가구에 임대하는 방식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여성친화형 1인 가구 복합타운은 전국에서 처음”이라며 “상대적으로 범죄에 취약한 여성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1인 가구는 고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임 등 사회관계망 형성 지원책이 잇따르는 것도 특징이다. 성남시는 오는 4월부터 1인 가구로 이뤄진 동아리에 활동비를 지원한다. 만 19세 이상 1인 가구 4~8명이 모여 취미, 여가, 문화, 봉사 등의 활동을 하는 동아리 30개 내외를 선정해 매월 3만 원 이내의 활동비를 지급한다. 대전시도 올해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텃밭 공동체 활동인 ‘1인 가구 커뮤니티 가든’을 운영한다. 텃밭·공동정원 가꾸기, 가든·바비큐파티, 공유 농산물 전달 등을 통해 이웃 간·세대 간 소통을 강화하자는 취지다. 또 대구시와 경기 안양시도 1인 가구가 모여 같은 취미 생활을 즐기는 ‘자조모임’에 소정의 활동비를 지원하는 등 1인 가구의 육체적·정서적 건강 증진에 나선다.
노후 준비나 식생활 등 1인 가구를 위한 상담·교육 프로그램도 늘어나는 추세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재무 교육 및 상담 사업을 시행한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1인 가구에 대한 자체 실태조사에서 응답자의 63.2%가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재무교육을 통해 노후준비는 물론 자산 관리 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제주 서귀포시는 직장인 1인 가구를 위해 공공기관과 연계한 자기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는가 하면 지자체마다 1인 가구 행복밥상, 나를 위한 혼밥 연구소 등 식생활 개선을 위한 요리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송영달 경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1인 가구 비중은 지난해 이미 40%를 넘어섰고, 규모가 커진 만큼 내부 다양성도 매우 커졌다”며 “성별·연령별 등 1인 가구의 특성을 세분화해 그에 맞는 정책을 장기적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