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서 성소수자 향한 부정적 태도 경험 42%
"정체성 숨기려 노심초사" 스트레스 시달려
우리 사회에서 청년 성소수자가 정체성을 드러내지 않는 장소 1위는 '직장'으로 나타났다.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에 10명 중 7명은 자신을 숨기고 있었다. 실제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취업이 취소된 경험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실은 청년 인권단체 '다움'(다양성을 향한 지속 가능한 움직임)이 실시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2021 청년 성소수자 사회적 욕구 및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8, 9월 3,911명의 성소수자 청년(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이 설문에 참여했다.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폭력이나 위협, 괴롭힘이 걱정돼 정체성을 드러내기 꺼려 하는 곳은 어디인가'라는 물음(중복답변)에 직장이라는 이들은 66.3%에 달했다. 이어 학교(44.4%), 가족과 함께 있을 때(39.8%) 순이었다.
실제 일하는 성소수자 청년 10명 중 7명(73.3%)은 직장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속이고 있다고 답했고, 직장에서 성소수자를 향한 부정적인 태도를 경험했다는 이들도 42.5%에 달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일하는 성소수자 청년의 절반 이상이 직장생활에 어려움을 느꼈다. 남들보다 더 잘해야 한다는 압박(52.3%)에 시달렸고, 정체성을 숨기려 노심초사하는 과정에서의 스트레스(51.3%)도 적지 않았다.
최근 1년간 정체성을 이유로 차별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1,131명)도 가장 심각한 차별을 받았던 곳을 '대학 및 대학원(19.7%)'과 '직장(17.4%)'으로 지목했다.
또 구직의 문턱 역시 남들에 비해 높았다. 구직 과정에서 차별을 경험했다는 성소수자 청년은 22.6%였다. 외모나 말투, 행동이 남성·여성답지 않다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는 이들(73.7%)이 가장 많았다. 19.1%는 성소수자 정체성 때문에 아예 지원을 포기하기도 했다.
입사가 취소되거나 채용을 거부당했다는 답변도 5.4%였다. 특히 트랜스젠더 여성은 17.9%, 트랜스젠더 남성은 8.8%가 채용 취소·거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헌법 32조는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고 규정한다. 하지만 성소수자에게는 헌법조차 미치지 못한다. 청년 성소수자들은 자신의 성적 지향과 정체성을 갖고 직장생활을 잘 해나가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요소로 '커밍아웃을 할 수 있는 분위기'(61.6%)를 뽑았다. '성소수자 인권침해·차별에 대한 구제절차나 기구'(49.5%)나 '직장 내 성소수자 인권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36.9%) 등 구체적인 제도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뒤를 이었다.
차별과 소외의 경험은 결국 성소수자 청년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 응답자 절반(49.8%)은 최근 일주일 사이 우울을 느꼈다. 또 41.5%는 1년 내 진지하게 극단적인 선택을 고민해봤다고 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20년 전국 청년을 대상으로 같은 질문을 했을 때 '그렇다'는 답변이 단 2.7%에 불과했던 점에 비춰보면 어마어마하게 높은 비율이다.
성소수자가 살아가기에 한국사회가 '(매우·다소) 좋지 않다'는 답변 역시 97.1%였다. 8년 전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 조사(2014)' 당시 93.4%보다도 늘었다. 한국사회가 성소수자가 살기에 '매우 안 좋다'는 답변은 39.1%에서 56.1%로 뛰었다. 장혜영 의원은 "성소수자이면서 청년이기에 직장 등 일상에서 마주하고 있는 복합적 차별과 불평등에 대해 우리 사회와 정치가 얼마나 무관심했는지 깊이 성찰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다움 연구진이 조사한 이번 연구 결과는 다음달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리는 토론회 '한국 성소수자 청년을 말하다'에서 정식 발표될 예정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