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한 해 태풍 피해 17조원, 조개 사라져... IPCC가 경고한 한국의 미래

알림

한 해 태풍 피해 17조원, 조개 사라져... IPCC가 경고한 한국의 미래

입력
2022.02.28 21:00
수정
2022.02.28 21:17
8면
0 0

IPCC 보고서, 서울 홍수 위협 세계 최고 수준 전망
부산 등 해수면 상승하고, 어류 생산 절반으로 줄어

소방관들이 24일 오후 강원 평창군 방림면에서 발생한 산불을 밤새 진화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겨울철 기온 상승과 건조기후로 산불 발생이 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소방관들이 24일 오후 강원 평창군 방림면에서 발생한 산불을 밤새 진화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겨울철 기온 상승과 건조기후로 산불 발생이 늘고 있다. 산림청 제공

한 해 태풍 피해가 최대 17조 원에 달하고, 온열질환으로 사망자가 늘어나며, 조개는 자취를 감추고 어류 생산량은 절반으로 줄어든다. 서울은 세계 주요 도시 중 홍수 위협을 가장 크게 받을 것이며, 해안홍수 취약인구는 3배로 늘어난다.

28일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IPCC)가 발표한 제6차 평가보고서 제2실무그룹 보고서와 관련 논문에 담긴 한국의 모습이다.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지 않으면 2030년 중반 이후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때 펼쳐질 모습을 제시했다.

폭염 일상화... 온열질환 사망자 4% 증가

현재 국내 온열질환 위험수준, 즉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섭씨 25도 이하인데, 이 지수는 26~29도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지역은 30도가 넘는다.

WBGT란 온도·습도 등을 종합해 열사병 등 위험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고용노동부의 고열작업환경 관리지침에 따르면 WBGT가 25.9도를 넘으면 사업장은 단계별 휴식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농업·건축업 등의 야외노동자는 물론, 냉방이 잘 되지 않는 실내 공간 작업자의 생명도 위협받고 생산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급격한 온실가스 감축을 하더라도 한국의 농업부문 노동력은 약 3% 감소한다는 전망이다.

온열질환으로 인한 연간 사망자는 2050년 4%, 2090년엔 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폭염이 가장 심했던 2018년 온열질환 사망자는 162명이다. 다만 배출량을 급격히 감축하면 사망자 증가는 2%에 그칠 전망이다.

조개류 생산 98% 감소... 멸종 수준

2030년 이후 태어나는 아이들은 조개를 먹어보지 못할 수 있다. 2030~2050년 조개류 생산량은 2010~2030년 대비 9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실상 멸종 수준이다. 어류 생산량 역시 절반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어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을 가능성이 높다.

기후변화는 한반도의 해양생태계도 위협한다. 강원도 낙산항 인근에서 멸치떼가 폐그물에 엉켜 죽어있다. 동아시아 바다공동체 오션 제공.

기후변화는 한반도의 해양생태계도 위협한다. 강원도 낙산항 인근에서 멸치떼가 폐그물에 엉켜 죽어있다. 동아시아 바다공동체 오션 제공.


태풍과 해수면 상승... 서울도 부산도 잠긴다

기상이변도 잦아진다. 2020년 여름, 역대 최장기간(54일)의 장마로 사망자 46명, 이재민 약 7,000명이 발생했던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다.

태풍 피해가 반복돼 연간 손실액은 최소 6조 원에서 최대 1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하천 범람으로 인한 피해도 연간 약 5조~6조 원이다. 보고서는 한국이 열대성 태풍으로 인한 연간 손실액이 가장 큰 10개국에 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서울을 세계 주요도시 중 홍수의 위협을 가장 크게 받는 곳 중 하나로 꼽았다. 부산은 해수면 상승으로 2070년 연간 약 3조6,000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볼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약 1조2,000억 원, 울산은 약 7,000억 원의 피해가 발생한다. 현재 해안홍수에 취약한 인구는 약 110만 명이나, 이번 세기 말 3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8월 내린 집중호우로 구례읍 도심이 침수돼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2020년 8월 내린 집중호우로 구례읍 도심이 침수돼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기후위기가 경제위기로... "기후위기 대응 도외시 안 돼"

국내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이 피해를 보면서 경제도 쇠퇴한다. 보고서는 2011년 태국 홍수가 반도체 생산 라인을 강타해 세계 생산량이 2.5% 감소한 것을 예로 들었다. 이번 세기 말 각국의 국내총생산(GDP)은 기후위기가 없을 때보다 약 10~23%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더 피해가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보고서 저자인 아로말 레비 인도 인간정주연구소 소장은 "한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빈부격차에 따라 피해가 극대화될 것"이라며 "경제개발을 이유로 기후위기 대응을 도외시한다면 치러야 할 대가는 더 커진다"고 경고했다.

신혜정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