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SNS가 튼 변혁의 물꼬

입력
2022.04.06 04:30
26면
0 0

4.6 이집트 청년운동

2010년 이집트 혁명 당시의 4·6청년운동 시위 장면. carnegie-mec.org

2010년 이집트 혁명 당시의 4·6청년운동 시위 장면. carnegie-mec.org

2010년 12월 한 노점상의 분신자살로 시작된 튀니지 반정부 시위가 '재스민 혁명'으로 25년 만에 정권을 엎었고, 그 불길이 이집트 예멘 리비아 독재권력까지 잇달아 허물고 이란 요르단 등 아랍권 전역으로 확산됐다. 그 일련의 전개를 세계는 '아랍의 봄'이라 불렀고, 'SNS혁명'이라고도 했다. 정치·종교·군사적 권위주의와 대안 정치 억압, 언론 등 자유 인권 탄압으로 사실상 막혀 있던 시민사회의 언로(言路)가 페이스북 등 SNS로 열렸기 때문이었다. 30년 독재에 이어 권력 부자 승계를 꾀하던 이집트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을 극적으로 붕괴시킨 바탕에도 SNS가 있었다.

1952년 쿠데타로 친영 왕정을 무너뜨린 나세르 이래 이집트 정권의 수명은 곧 권력자의 수명이었다. 1970년 나세르가 자연사하면서 부통령이던 안와르 알 사다트가 권력을 승계했고, 1981년 사다트 암살로 부통령 무바라크가 비상계엄령하에 대통령이 됐다. 무바라크 정권은 2011년 하야 직전까지 계엄 통치를 지속하며 부패와 독재의 견고한 구조를 구축했다. 2004년 한 조사에 따르면 이집트 인구의 약 3분의 1인 15~29세 청년 67%는 유권자 등록조차 하지 않았다.

2005년 대선을 앞두고 미국 등 국제사회는 다당제 선거 등 이집트 정치민주화를 종용했다. 그 덕에 선거 국면 '이견'의 조직화와 집회 자유의 언로가 제한적으로나마 열렸고, 좌파 및 무슬림형제단 등 야권이 연대했다. 네 차례 내리 93~98% 지지율로 정권을 연장한 무바라크는 그 선거에서 처음 80%대 지지율로 연임했다.

당시 이집트 시민 인터넷 이용률은 약 9분의 1이었고, 그중 약 9%(80만 명)가 페이스북 이용자였다. 그들 중 일부가 2008년 4월 6일 이집트 나일델타 지역 섬유노동자 파업을 페이스북을 통해 지원하며 '4·6 청년운동'이란 조직을 형성했고, 탄압 속에 활동을 이어가며 2011년 이집트의 봄을 선도했다.

최윤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