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코로나 이후 관건은 '학습 회복력'... "성적 넘어 정서까지 껴안아야"

입력
2022.04.22 10:00
8면
0 0

[돌아온 일상, 남겨진 상흔] <4·끝> 벌어진 학습격차

편집자주

코로나19가 송두리째 흔들어 놓은 일상이 2년여 만에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그렇다고 상처마저 회복된 건 아니다. 제대로 돌보지 않은 상처는 덧나고 곪아 사회적 갈등으로 번질 수도 있다. 또 다른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남은 문제들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백신 피해자, 후유증, 의료 인력, 교육 문제 등에 대해 4회에 걸쳐 알아본다.


지난달 14일 서울 시내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달 14일 서울 시내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시스

'포스트 오미크론 시대'를 맞아 정부는 5월부터 원격학습 폐지, 전면등교 재개를 내걸었다. 관심은 코로나19 장기화 때문에 생겨난 학생들 간 학습격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느냐다. 키워드는 '학습 회복력'이다.

전문가들은 계속 경고음을 내고 있다. 교육학적으로 학생들, 특히 어린 학생들일 수록 나이대별로 이뤄야 할 '발달과업'이 있다. 코로나 때문에 이 부분을 놓치면 그 악영향은 학생들이 자라서 성인이 된 20~30년 뒤부터 나타날 것이라는 지적이다. 문제의 심각성을 아는 정부도 나름의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성적 중심의 지식을 넘어 정서적 측면까지 감안한 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지금 정부 대책은 '보충수업'만 늘린 꼴

2020년 코로나19가 확산되고, 그해 4월부터 원격수업이 본격 도입되면서 학습격차 문제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다음 해인 2021년에도 원격수업이 이어지자, 같은 해 7월 교육부는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내놨다.

주요 내용을 보면 △방과 후·방학 중 학생 맞춤형 집중 지도 프로그램 '학습 도움닫기' △교대·사범대 등 대학생들을 활용해 학습 보충 및 상담을 해주는 튜터링 프로그램 △고등학생 1대 1 맞춤형 '학습 컨설팅' 도입 등이다. 교육부는 일단 올해까지 이 정책들을 시행한 뒤 교육 효과 등에 대한 비교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참조해 '중장기 이행방안'을 만들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대책의 대부분이 방과후 학습, 튜터링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공부를 안 하는 건 하기 싫어서, 방법을 몰라서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코로나19 때문에 공부를 하지 못할 상황에 내몰려서일 수도 있다. 정부 대책은 이 부분을 놓치고 있다는 얘기다.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는 "정부의 지금 대책을 보면 인지적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성취 수준 이하의 학생들에게 보충수업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학습 부진의 원인이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서 보충수업에만 매달리면 도리어 아이들을 배움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대책부터 내놓을 게 아니라 아이들에게 어떤 다양한 문제가 있는지 자세히 파악하는 작업부터 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정서적인 부분까지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키워줄 단계적 접근 필요

특히 유심히 돌봐야 할 학생들은 코로나19 이전부터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워했거나 우울, 불안 등 위험이 컸던 학생들이다. 이종하 고대안산병원 소아정신과 조교수는 "고위험군 학생들은 학교에 다시 가야 한다는 것 때문에 심적 부담감이 늘면서 학교생활에 다시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그 때문에 등교거부감도 생길 수 있다"며 "이 학생들은 학교 생활 전반에서 선생님들이 주의 깊게 챙겨 봐야 한다"고 말했다.

시간을 들여서, 단계적으로 세심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나온다. 유미현 아주대 교육대학원 교수는 "코로나19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는 중위권 학생들의 경우, 어느 정도 자체적 역량이 있다"며 "난이도를 낮춰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접근하게 해 성취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스스로 맛볼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