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에게 간이 딱딱해지는 ‘간섬유화’가 발생하면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지는 ‘중증 저혈당’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용호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와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간섬유화가 있는 당뇨병 환자의 중증 저혈당 위험이 간섬유화가 없는 환자보다 38% 높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저혈당은 당뇨병에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대한당뇨병학회는 가장 위험한 저혈당 단계인 중증 저혈당을 응급실 방문 등 외부 도움이 필요한 상태로 정의한다.
중증 저혈당은 치매ㆍ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고 의식 소실과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하는 당뇨병 합병증이다. 이에 따라 환자는 수시로 혈당을 관리해야 하므로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
간섬유화는 간경변, 간암으로 악화할 수 있다. 원인으로는 간에 과도한 지방이 쌓여 생기는 비알코올 지방간이 대표적이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9~2012년에 2형(성인형) 당뇨병 환자 200만 명을 대상으로 중증 저혈당 치료 여부를 확인했다.
추적 관찰 기간(5.2년)에 4만5,135명이 중증 저혈당으로 치료받았다. 중증 저혈당 환자의 평균 연령은 67.9세로,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평균 57.2세)보다 10.7세 높았다. 몸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는 평균 24.3로 대조군보다 0.8 낮았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중증 저혈당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방간 지수를 활용했다. 지방간 지수는 간 효소를 활용해 지방간 중증도를 측정하는 수치다.
이 지수에 따라 전체 당뇨병 환자를 지수가 낮은 그룹(FLI<30), 중간 그룹(30?FLI<60), 높은 그룹(FLI>60)으로 나눴다.
각 그룹에서 중증 저혈당인 당뇨병 환자는 100명 중 각각 3.6, 3.4, 4.4명으로 지방간 지수가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26% 증가했다.
간섬유화를 동반한 지방간 환자의 경우 간에 이상이 없는 당뇨병 환자 대비 중증 저혈당 위험도가 38%까지 증가했다.
이와 함께 지방간 지수를 10분위로 나눠 분석한 결과, 지방간 지수에 따른 중증 저혈당 발생 위험이 J자형 곡선을 그린다는 것을 확인했다. 중증 저혈당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지방간 지수는 남성에서 12~54, 여성에서 7~37였다.
이용호 교수는 “이번 연구로 지방간을 동반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중증 저혈당 발생 위험이 높다는 걸 알아냈다”며 “저혈당 위험도를 고려해 환자 특성에 맞는 약물 치료로 환자 안전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근 호에 실렸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