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아야톨라 호메이니
이란은 19세기 중엽 이래 영국 영향력하에 점진적으로 서구화했다. 왕조는 이권의 대가로 부패와 무능을 용인받았고, 시민과 군대는 20세기 초 이른바 '제헌 혁명'으로 반정부 자주권을 요구했다. 잠시 이룬 헌정은 하지만 종교-왕당파에 의해 이내 무너졌고, 곧 1차대전이 터졌다. 전후 승전국 영국은 이란을 아예 식민화했다. 국민적 반영 감정에 편승해 1926년 군부 권력자 레자 칸(Reza Khan,1877~1944)이 집권했다. 그가 '레자 샤 팔라비'였고, 팔라비 왕조가 그렇게 시작됐다.
레자 샤는 합리적 세속 군주였다. 근대 개혁법안으로 이슬람 율법의 영향력을 억제했고, 토지제도를 개혁해 종교권력의 물적 토대를 허물고자 했고, 교육개혁으로 여성 지위 향상을 꾀했다. 하지만 러시아(소련)와 영국 등 외세를 견제하기 위해 나치 독일과 긴밀한 외교관계를 맺었다가 1941년 연합군(영국과 소련)의 침공을 당했고, 레자 샤는 개혁 과제를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에게 넘기고 양위, 사실상 추방자 신분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숨졌다.
아들 팔레비는 구 왕조의 노선과 아버지의 개혁노선의 절충을 시도했다. 미국 등 서방 석유회사에 유전 개발권을 넘기고 대소 중동방위전선인 바그다드조약기구의 주축으로 가담했다. 1963년 본격화한 그의 개혁 즉 '백색혁명'은 토지 개혁, 국유사업 매각, 여성 투표권 부여 등 아버지의 노선을 잇는 근대화·탈종교화 개혁이었다.
하지만 급격한 서구화와 빈부격차의 심화로 1970년대 중반 이후 반팔레비·반왕조 시위가 격화했고, 그 중심에 루홀라 호메이니(1902.9.24~1989.6.3)가 있었다. 이슬람 시아파 종교 최고지도자(대 아야톨라)로서 '백색 혁명'에 맞서 대중을 선동하던 호메이니는 1963년 7월 체포됐고, 이듬해 11월 강제 추방되고도 국외에서 녹음테이프 등으로 이슬람 세력의 저항을 선동했다. 그 결과가 1979년 혁명이었고, 만 15년간 터키-이라크-프랑스를 떠돈 망명자 호메이니는 이슬람최고혁명위원회의 권력자로 귀국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