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연봉은 절반, 성과급은 5분의 1" 네이버가 아닌 네이버에 다니는 직원들
알림

"연봉은 절반, 성과급은 5분의 1" 네이버가 아닌 네이버에 다니는 직원들

입력
2022.06.09 09:00
수정
2022.06.09 11:33
0 0

네이버 노조, 8일 임협 결렬 관련 기자회견
5개 자회사 직원들, 본사보다 낮은 처우
전문가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다해야"

네이버 공동성명이 8일 경기 분당시 네이버 본사 앞에서 임금단체교섭 결렬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이승엽 기자

네이버 공동성명이 8일 경기 분당시 네이버 본사 앞에서 임금단체교섭 결렬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이승엽 기자


네이버 계열사 직원들이 본사에 비해 현격히 떨어지는 처우에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네이버 포털 운영부터 개발, 디자인, 서버 운영, 고객 서비스 등에 이르기까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네이버 서비스 전반을 담당하는 2,500여 명의 직원들에겐 지난해부터 이어진 정보기술(IT) 업계의 연봉 인상은 먼 나라 이야기다.


네이버 계열사 5곳, 중노위에 공동조정신청

경기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팩토리와 제2사옥 '1784'의 모습. 네이버 제공

경기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팩토리와 제2사옥 '1784'의 모습. 네이버 제공


네이버 공동성명(노조)은 8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네이버의 '손자' 회사 5곳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을 위해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공동조정신청을 한다고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네이버아이앤에스(INS) 산하 계열사인 엔아이티서비스(NIT), 엔테크서비스(NTS), 그린웹서비스, 인컴즈, 컴파트너스 등 5개사 직원들은 올해 본사와 같은 수준인 '연봉 인상률 10%'와 '매월 15만 원의 복지포인트 지급'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과 10여 차례 교섭 끝에 입장 차이를 줄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사측이 직장 내 괴롭힘 전담 기구 설치, 조직 문화 개선 요구에도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면서 직원들의 반발은 더 커졌다.

노조 측은 "네이버가 경영의 주요 가치로 내세우는 이해 관계자 중심 경영에 자회사와 계열사 노동자들은 제외돼 있다"며 "네이버를 함께 성장시킨 성과를 계열사 노동자도 나눌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계열사 신입 초봉, 최저임금 겨우 넘는 수준... 퇴사·이직 잦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이렇듯 네이버 계열사 직원들이 단체 행동에 나선 것경영지원 등의 업무를 자회사에 발주 계약 형태로 맡기는 구조에 있다. 우선 계열사 직원들이 소속된 5개 회사는 네이버의 '손자' 회사로, 네이버가 네이버INS를 소유하고 네이버INS가 이들 기업의 지분을 100% 소유해 관리하는 구조다. 서비스 개발과 디자인 등은 NTS, 인프라와 플랫폼 운영과 보안은 NIT, 고객서비스 및 업무지원은 인컴즈와 컴파트너스 등이 담당하는 식이다.

사실상의 경영지원부서로 네이버 본사 직원들을 지원하는 일을 하지만, 네이버는 이들을 본사 사업부가 아닌 자회사로 운영하고 있다. 자회사지만, 연초에 발주 계약을 통해 받은 용역비로 임금부터 복지까지 모두 충당하는 방식이라 직원들의 처우가 본사보다 현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노조에 따르면 이들 회사의 신입사원 초봉은 직군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최저임금을 조금 넘는 2,000만 원 초반, 평균 연봉은 3,000만 원대에 머물고 있다. 네이버 본사의 절반 수준이다. 오세윤 네이버 노조 지회장은 "5개 계열사의 연봉은 본사와 많게는 3배 이상 차이가 난다"며 "네이버를 위해 애쓰고 있는 모든 노동자들이 소외받지 않고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IT업계의 연봉 및 성과급 인상 바람도 이들에게는 '남의 일'이었다.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낸 네이버는 본사 직원들에게는 성과급을 주식 형태로 1인당 1,000만 원씩 지급했지만, 5개 계열사에는 200만~300만 원의 현금이 전부였다. 네이버 계열사 간판을 보고 입사했다가 처우에 실망해 1년도 채 되지 않아 회사를 떠나는 직원도 많다고 한다.

네이버 계열사에 7년째 재직 중인 A씨는 "조직의 성과가 클수록 노력한 만큼의 보상을 받기를 원하지만 공정한 보상을 받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왜 5개 계열사 직원들의 근속 기간이 짧고 잦은 이직을 하는지, 입사 직후 6개월 내 퇴사가 빈번한지 경영진이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네이버, 글로벌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아... 사회적 가치 다해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문제는 국내 IT업계 선도기업인 네이버가 효율성을 명목으로 하청 형태로 계열사를 운영하면서 후발주자들도 네이버 방식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와 당근마켓 등도 네이버처럼 업무지원 기능을 자회사에 아웃소싱하는 구조로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네이버 노조는 파업 등 단체 행동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이다. 직원들이 담당하는 업무가 이용자 서비스에 밀접하게 연관된 만큼 파업에 따라 고객의 불편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네이버와 5개 법인의 소유구조, 운영 서비스의 경제적·조직적 종속성을 고려할 때 네이버는 노동시장 격차 해소를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특히 직장 내 괴롭힘이나 조직문화 개선까지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준에도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승엽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