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장치율 소폭 상승…아직 여유"
파업 장기화 땐 장치율 높아져 항만기능 마비 우려
파업 장기화하면 항만 기능 마비 사태 불가피
부산시 등 비상 수송 대책 잇따라 마련 나서
대책본부 가동, 대체 수송차량·임시 장치장 확보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이 화물연대 파업으로 물류 수송에 비상이 걸렸다.
8일 부산항만공사(BPA)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북항과 신항이 있는 부산항의 장치율은 74.5% 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오후 4시 기준인 73.4% 보다 소폭 오른 수치다.
파업 첫날이었던 7일 오후 기준으로는 부산항 10개 터미널의 장치율은 파업 전보다 4%포인트 가량 높은 73.7%였다. 파업 첫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부산항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1만9,000여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기록했다. 전날 반출입량인 2만5,000여 TEU에 비해 크게 줄어 든 것이다. 평소 시간당 1,000여 대 이상의 컨테이너 차량이 오가던 부산항 신항의 한 컨테이너 터미널에 파업 첫날 통행 차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등 파업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파업이 장기화돼 컨테이너 반출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화물을 쌓아놓는 정도의 비율인 장치율이 높아지면서 항만 기능이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선사와 터미널 운영사 등이 화물연대 파업에 미리 대비해 물량을 반출입을 조정하면서 당장에 물류 현장에서 차질은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사태 장기화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업체 한 관계자는 “예고된 파업이라 연휴 기간에 미리 제품을 보내기도 했는데 파업이 길어지면 운송 차질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두에 컨테이너가 제때 빠져나가지 못해 쌓이면 장치율이 높아지면서 항만 운영 피해뿐 아니라 내수 판매, 수출, 원재료 수입 등의 과정에서 피해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부산항 터미널 장치율은 지난 4월 기준 북항 81.7%, 신항 78% 수준인데 이 비율이 100%에 육박할 경우 항만 운영이 사실상 중단될 수 밖에 없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부산시와 부산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등은 비상 수송 대책을 잇따라 마련하고 있다.
부산시는 대체 수송 차량 확보를 위해 16개 구·군에 자가용 화물차 유상운송 허가를 임시로 내주는 지침을 전달했고, 항만 터미널 안에서만 운행하는 야드 트랙터의 부두 밖 임시 운행을 허가하도록 차량등록사업소에 협조를 요청했다.
부산해양수산청과 부산항만공사는 부산항 내에서 터미널 간 트럭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임시 수송로를 개통하고, 군 컨테이너 차량 등 비상 수송 수단 마련에 나서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비상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해 부산항 물류 상황을 살피면서 북항 2곳과 신항 5곳에 모두 2만2,000여 TEU의 컨테이너를 쌓을 수 있도록 임시 장치장을 확보했다. 감만, 우암, 신항 안골, 웅동 배후단지 등도 대비 공간으로 활용한다. 부산항 운송 물량 적체 해소를 위한 대책도 강구하고 있다.
부산해양수산청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 하면 장치율이 더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비상용 장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