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청년은 빚내느라, 노년은 빚 갚느라... 대출에 파묻힌 국민
알림

청년은 빚내느라, 노년은 빚 갚느라... 대출에 파묻힌 국민

입력
2022.09.05 04:30
1면
0 0

20대 채무불이행 8.4만 명
고금리 2금융권 대출도 증가
6070 소득比 대출잔액 3050보다 커
"소득 낮아 빈곤층 전락 가능성 높아"

서울 서초구 서울회생법원 모습.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서울회생법원 모습. 연합뉴스

가계대출 금리가 연일 뜀박질하면서 대출금을 갚느라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차주들이 늘고 있다. 은행에서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해 신용 불이익을 받는 20대가 늘고 있는가 하면, 은퇴 후 소득은 줄었는데 갚아야 할 대출 잔액은 여전히 많은 노년층도 사정이 빠듯하긴 마찬가지다. 이들이 빚을 갚느라 씀씀이를 줄이거나, 결국 대출이 부실화할 경우 우리 경제위기의 뇌관이 될 것이란 경고가 나오고 있다.

질 나빠진 20대 빚

4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신용정보원에서 제출받은 '금융채무 불이행자 현황' 자료를 보면, 20대 금융채무 불이행자(6월 말 기준)는 8만4,300명, 이들의 평균 연체 금액(원리금 총액)은 1,580만 원으로 집계됐다.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한 10명 중 6명(41.8%)은 연체 금액이 500만 원 이하였고, 500만~1,000만 원 이하를 연체한 비중이 21.2%로 뒤를 이었다. 비교적 소액이지만 '생계비 부족' 등을 이유로 이마저 갚지 못해 신용상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청년층이 진 빚은 그 질도 나빠지고 있었다. 금융감독원과 진 의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20대의 은행권 대출은 전 분기 대비 2,536억 원(-0.4%) 줄어든 반면,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을 중심으로 한 2금융권 대출액은 8,374억 원(3.1%) 늘었다.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워낙 가파르게 오르면서 빚을 제때 갚지 못한 대출자들이 2금융권 대출로 돌려막기에 나서거나, 한도 부족 등 애초부터 은행권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필요 자금을 2금융권에서 빌린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2금융권은 은행보다 대출금리가 더 비싸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식 등 자산시장이 무너지면서 자금난에 빠진 대출자들이 2금융권에서도 돈을 빌렸을 수 있다"며 "대출 건전성이 나빠지고 있다는 뜻"이라고 했다.

대출 잔액 여전히 잔뜩 60대

60대 이상은 대출 상환의 늪에 빠져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은퇴 후 소득은 줄었는데 재산은 집에 묶여 있고, 갚아야 할 대출금은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자료를 토대로 연령대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구간별 차주 및 대출 잔액을 봤더니, DSR가 40%대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차주 비중 가운데 60~70대 이상의 경우는 4.3~12.7%였다. 30~50대(5.2~12.3%)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에 반해 이들이 보유한 대출 잔액 비중은 60대(DSR 40% 이상)가 41.8%, 70대 이상이 44%로, 30~50대(20~30%대)보다 높았다. DSR가 높은 차주 가운데서도 60대 이상의 소득 대비 대출잔액이 30~50대보다 훨씬 많다는 의미다. DSR는 연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로, 가령 DSR가 40%라는 건 연소득 5,000만 원일 때 원리금 상환액이 2,000만 원을 넘을 수 없단 뜻이다.

보고서를 쓴 권흥진 연구위원은 "60대 이상은 현재 소득뿐 아니라 향후 기대소득이 30~50대 차주 대비 낮기 때문에 상환 부담이 크고, 향후 부실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특히 노년 차주의 경우 소비를 크게 줄이거나 갖고 있는 자산을 줄이지 않고선 대출을 상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권 연구위원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60대 이상 차주의 소비 여력 감소는 잠재적 빈곤층 전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실물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아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