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우르르' 광주가 국제안전도시?… 난감한 市 "도시 안전도 인증 아냐"
알림

'우르르' 광주가 국제안전도시?… 난감한 市 "도시 안전도 인증 아냐"

입력
2022.09.19 15:35
수정
2022.09.19 15:48
0 0


2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아파트 신축 공사 붕괴 사고 현장 상층부에서 수습 당국이 실종자 수색, 잔해물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2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아파트 신축 공사 붕괴 사고 현장 상층부에서 수습 당국이 실종자 수색, 잔해물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광주광역시가 20일 북구 오치동 빛고을국민안전체험관 분수광장에서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선포식을 갖기로 했다. 이 행사는 광주시가 '광주=안전 도시'라는 점을 널리 알리고, 더 나아가 '안심 도시'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하기 위해 마련했다.

그런데 뒷맛이 영 개운치 않다. 지난해 6월 학동 철거 건물 붕괴와 올해 1월 화정동 현대아이파크 붕괴 등 대형 참사를 연이어 겪은 광주시가 과연 '국제안전도시'로 불릴 자격이 있느냐는 비판이 끊이지 않은 탓이다. 일각에선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주관한 스웨덴 스톡홀름 소재 국제비정부기구인 국제안전도시공인센터의 공신력을 문제 삼기도 했다. "두 차례나 건물 붕괴 사고가 발생한 도시를 안전한 도시라고 평가한 공인 기관의 심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게 골자다. 광주시는 이런 지적에 "안타깝다"면서도 "두 차례 참사로 인한 절망감 속에서도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노력해 국제안전도시로 인증을 받은 것"이라고 방어했다.

광주시가 국제안전도시공인센터로부터 국제안전도시로 최초 공인받은 건 2016년 4월. 광주시는 국제안전도시 인증 유효 기간(5년)이 끝나자 지난해 11월 재공인을 위한 예비 심사와 올해 3월 본심사를 거쳐 재공인을 받았다. 그러자 당시 정치권 일각에선 "염치가 없다. 광주시는 당장 인증서를 반납하고 자숙하라"는 비난이 터져 나왔다. 잇따른 대형 참사로 인해 '사고 도시'로 낙인 찍힌 광주시가 국제안전도시를 자처하는 게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포장으로 느껴진다는 것이었다. 실제 정의당 광주시당은 "평범하게 버스를 타고 가던 시민들이 갑작스레 사고를 당했던 기억이, 공사 중이던 아파트 밑바닥이 무너져 내린 기억이 그리 쉽게 잊힐 것 같은가"라고 직격했다. 광주시는 주변의 곱지 않은 시선이 이어지자 상반기 중 개최하려던 재공인 선포식을 무기한 연기했다가 20일 '지각 선포식'을 열기로 했다.

그러나 이를 대하는 시민들의 눈초리는 여전히 싸늘하다. 이에 광주시는 "국제안전도시 공인은 도시 안전 수준을 인증하는 게 아니다"라고 뒤늦게 진화하고 나섰다. 광주시 관계자는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됐다는 것은 해당 도시가 시민의 행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각종 사고와 위험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증진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인증받은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국제안전도시공인센터 측도 "국제안전도시는 손상(injury) 유발 위험 인자를 줄여 안전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춘 도시를 뜻한다"고 했다. 국제안전도시 공인 기준이 '도시 안전도'로 잘못 이해되고 있다는 얘기다.

지난해 6월 9일 오후 4시 22분쯤 광주 동구 학동 주택재개발사업구역에서 철거 중이던 5층 건물이 도로 쪽으로 무너지며 시내버스 정류장에 정차해 있던 시내버스를 덮치고 있다. 이 사고로 시내버스 승객 9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 뉴스1

지난해 6월 9일 오후 4시 22분쯤 광주 동구 학동 주택재개발사업구역에서 철거 중이던 5층 건물이 도로 쪽으로 무너지며 시내버스 정류장에 정차해 있던 시내버스를 덮치고 있다. 이 사고로 시내버스 승객 9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 뉴스1

실제 국제안전도시공인센터는 보건·건강 등 생활 안전에 초점을 맞춰 손상 발생 최소화를 위한 노력 등을 국제안전도시 공인 기준으로 삼고 있다. 반면 유엔 재해경감국제전략기구(ISDR)의 국제안전도시 인증 기준은 주로 재난·재해 위험 평가와 재해 대응시스템 구축, 세부 실행 계획 등에 집중돼 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광주시가 지금껏 국제안전도시 개념에 대해 정확히 설명도 하지 않은 채 '국제안전도시'라는 타이틀만 대대적으로 홍보해 왔다는 비판도 나온다. 재난 안전 전문가인 한 대학 교수는 "광주시가 마치 국제기구에서 제대로 된 절차를 거쳐 국제안전도시라는 자격을 부여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스웨덴의 작은 학회에서 몇 사람이 30여 분간 온라인 심사해 인증한 것"이라며 "인증 지표 중 기본적인 자연·사회 재난에 대한 지표도 없다"고 꼬집었다. 평가 인증에 대한 신뢰도를 문제 삼은 것인데, 실제 심사 과정에서 광주시에 국제안전도시에 대한 자문을 해 준 교수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두 번의 참사 발생 이후 광주시가 국제안전도시로 인증받지 못하게 되면 시민들에게 또 다른 상실감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해 재공인 심사를 받았다"며 "광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안전한 도시로서의 국내외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선포식 행사도 준비했다"고 말했다.

안경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