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환자 25%가 우울증도 함께 겪는 '공황장애'

입력
2022.09.20 21:46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심장이 빨리 뛴다’ ‘심장이 아프다’ ‘심장이 조인다’ 같은 순환기 증상과 ‘숨이 안 쉬어진다’ ‘질식할 것 같다’ 같은 호흡기 증상이 공황장애 환자의 공황발작의 대표적인 임상 특징이다.

정조은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공황발작은 다양한 신체 증상을 동반하므로 그 증상이 신체적 질환으로 인한 것인지 공황장애로 인한 것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며 “특히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가슴 통증 같은 증상들은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과 비슷해 감별해야 한다”고 했다.

공황발작은 뚜렷한 자극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신체적 증상이 특징이며, 이런 증상이 갑자기 발생해 몇 분 이내에 악화된다.

공황발작이 있을 때는 심장 두근거림, 호흡곤란 같은 신체 증상과 함께 죽을 것 같은 극심한 불안ㆍ두려움ㆍ공포 같은 정신ㆍ인지적 증상을 함께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응급실,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등을 거쳐 이상 소견이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할 때가 많다.

공황장애는 이러한 공황발작을 적어도 1번 이상 경험한 이후, 한 달 이상 추가적인 공황발작이나 그에 따른 결과에 대해 지속적인 걱정을 하거나 공황발작과 관련돼 회피 행동이 나타날 때 진단할 수 있다.

공황장애 평생 유병률은 미국 연구 보고에 따르면 1~4%로 100명 중 1~4명꼴이며 공황발작은 일반 인구의 5~6%에서 경험한다.

우리나라는 2021년 정신건강실태조사에서 공황장애가 포함돼 있는 불안장애는 9.3%, 공황장애 평생 유병률은 0.4%다.

불안장애는 극도의 공포, 불안 및 관련된 행동 장애의 특징을 지난 질환이 포함된다.

공황장애뿐 아니라 사회공포증, 광장공포증, 특정공포증, 범불안장애 등이 불안장애에 해당된다.

증상이 있어 병원을 찾으면 병력ㆍ정신 상태 검사 등을 통해 공황장애를 평가하며 필요 시 심리 검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공황장애를 진단하기 전 중요한 것이 공황발작과 비슷한 증상을 가진 신체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다.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나 약물, 예를 들어 카페인이나 각성제 과다 복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관상동맥 질환, 부정맥, 갑상선 또는 부갑상선 기능 이상, 저혈당증 등을 감별해야 한다.

이러한 신체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혈액검사, 심전도 검사, 흉부 X선 검사, 뇌 영상 검사 등을 시행하기도 한다.

공황장애로 진단을 받았다면 공존하는 정신과 질환 유무를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공황장애 환자에서 우울 증상이 흔히 동반되는데, 공황장애 환자 10~25%에서 주요 우울증이 공존한다.

이렇게 우울장애가 함께 있으면 공황 증상은 더 심한 양상을 보이며 우울증을 겪는 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 회피 증상이 심하면 광장공포증이 동반될 수 있는데 광장공포증은 그 상황이나 장소를 빠져나갈 수 없다고 느끼거나 도움을 받을 수 없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대중교통 이용 시, 주차장이나 다리와 같은 열린 공간, 영화관 같은 밀폐된 공간, 사람 많은 곳, 집 밖에 혼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밖에 공황장애는 사회공포증, 특정공포증, 범불안장애 등 다른 불안장애와도 흔하게 공존할 수 있다.

공황장애의 대표적 치료는 약물 치료와 인지 행동 치료가 있으며 치료하면 대부분의 환자가 증상이 호전된다.

정조은 교수는 “공황장애로 약을 먹기 시작하면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치료 초기에는 공황발작 횟수 및 예기불안을 줄이기 위해 약물 치료에 좀 더 많은 비중을 두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비약물 치료에 점차 비중을 두면서 약을 줄일 수 있다.

치료에 반응이 좋으면 8개월에서 1년 정도 약물을 유지하다가 중단하게 된다. 다만 공황 증상이 남아 있다고 약을 임의로 더 복용하거나 증상이 호전됐다고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는 것은 삼가야 하며,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특히 항불안제의 경우 술을 마시고 복용하면 약물 작용이 상승할 수 있기에 예측하기 어려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항불안제와 알코올 병용을 피해야 한다.

인지 행동 치료는 잘못된 생각과 행동을 알아내고 교정하는 치료로, 약물 치료와 병행하면 공황장애 치료에 가장 효과적이다.

다른 불안장애처럼 공황장애도 비교적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질병이지만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으며 제대로 진단받고 적절히 치료를 받으면 70~90%의 환자는 상당히 호전돼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조기 진단ㆍ치료하지 않으면 공황장애에 광장공포증이나 우울장애까지 합병돼 치료에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정조은 교수는 “공황장애를 극복하려면 술ㆍ담배ㆍ커피 같은 공황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하지 않는 생활 습관 개선과 이완 훈련이 도움이 된다”며 “평소 호흡 이완 훈련이나 명상 같은 활동을 꾸준히 연습하는 것이 몸의 이완 반응을 강화하고, 공황발작이 발생했을 때 좀 더 신속히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