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망막 황반 '신경섬유층' 얇으면 치매 위험 증가

입력
2022.09.26 20:05
0 0
눈의 망막 두께를 정밀 분석하는 '빛 간섭단층 촬영' 영상.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눈의 망막 두께를 정밀 분석하는 '빛 간섭단층 촬영' 영상.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망막 황반의 신경섬유층 두께가 얇을수록 향후 인지기능장애를 겪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망막(retina)은 눈의 가장 안쪽에 있는 신경세포 막으로 빛을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처리ㆍ통합해 뇌로 전달한다. 망막은 노화가 진행될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시신경 기능도 함께 떨어진다. 최근 망막 두께 감소와 인지 기능 저하 사이의 연관성이 밝혀지며 치매를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눈길을 끈다.

이런 가운데 분당서울대병원 우세준(안과)ㆍ김기웅(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경기 성남시 거주 노인 인구 430명을 대상으로 초기 망막 두께를 측정하고, 망막 두께에 따라 5년 간 정기적으로 시행한 인지 기능 검사 결과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망막 두께의 정밀 분석에는 ‘빛 간섭 단층 촬영’ 기법이 사용됐다.

그 결과, 여러 망막층 가운데 황반 신경섬유층(Retinal Nerve Fiber Layer) 두께가 하위 25%(231마이크로미터 이하)에 해당하면 치매 발생 위험이 5배 이상 높아졌다.

이 밖에 속얼기층(Inner Plexiform Layer) 등 다른 망막층은 미래 인지 기능 저하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 신경섬유층이 얇은 노인은 인지 기능 평가 점수(CERAD-TS)가 초기 평균 65.4점에서 시작, 매년 3.79점 감소해 신경섬유층이 두꺼운 노인층(68.5점 시작, 연 2.42점 감소)보다 인지 기능이 떨어지고 향후 인지 기능 감소 폭도 가팔라졌다. 이런 양상은 또 다른 인지 기능 평가 도구인 MMSE 검사에서도 동일했다.

이로 인해 황반 신경섬유층 두께가 얇은 그룹에서 향후 경도인지장애 혹은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을 앓게 될 확률은 52.7%로, 대조군의 유병 비율 11.3%를 크게 웃돌며 인지기능장애 위험도가 5배 이상 높았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한국 최초로 노인 인구에서 인지 기능과 망막 구조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이자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해 망막 구조와 미래 인지 기능 저하 간의 관계를 규명한 세계 첫 연구로 의미가 깊다.

우세준 교수는 “이번 연구로 황반 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지기능장애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임상 현장에서 인지기능장애의 조기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다”고 했다.

김기웅 교수는 “알츠하이머병 등의 인지기능장애와 연관된 다양한 요인이 규명되고 있다”며 “망막 구조가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밝혀낸다면 치료법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의학협회 안과학 저널(JAMA Ophthalmology)’에 최근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