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 발표
규제 해소 및 SW 전문인력 1만명 양성 등
자동차 업계 '95조+α' 투자 이행 적극 지원
정부가 2030년까지 전기차 330만 대를 생산하고 세계 전기차 시장의 12%를 차지하는 등 자동차 산업이 미래차 시장을 선점해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게 돕기로 했다. 미래차 산업계의 규제를 해소하고 세제 지원 등을 통해 5년 동안 95조 원 이상을 투자하려는 자동차 업계의 계획이 현실화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자동차 산업의 무게 중심을 미래차로 빠르고 유연하게 전환하는 동시에 그 영역을 모빌리티 신산업까지 넓히는 것이 주요 개념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세부 전략은 ①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 도약 ②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 ③안정적 공급망 구축 ④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 네 가지로 구성됐다. 이런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생산 330만 대 및 세계 시장 점유율 12% 달성 △2026년까지 5년 동안 자동차 업계 투자 95조 원+알파(α) △2030년까지 미래차 전문인력 3만 명 양성 등 세 가지 목표를 정했다.
차량용 반도체·소프트웨어 등 개발 지원도
산업부는 기존 완성차 업체 및 중소기업들과 협업해 미래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체질 변화를 꾀할 방침이다. 특히,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 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하고,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 개편해 2030년까지 기업 수요 중심의 소프트웨어 융합 인력을 1만 명 양성할 계획이다.
완성차업체, 개발자, 정부 간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사업'도 추진한다.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개도 집중 육성할 예정이다. 차량용 반도체는 프로세서, 센서, 전력반도체 등 16대 핵심 품목을 집중 개발해 2030년까지 시장 점유율을 6.6%로 늘릴 예정이다.
부품 기업들도 다각도로 돕는다. 중소벤체기업부 등과 협조해 부품 기업들에게 유형별로 맞춤형 정책을 펼치기 위한 '원스톱 지원체계'를 만든다. 내연기관차의 친환경화 기술 개발, 하이브리드 차량의 성능 고도화 등 미래차 생태계로의 전환도 적극 돕기로 했다.
완전자율주행차는 2027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을 추진한다. 현재 선두권 국가 대비 84% 수준인 핵심부품 경쟁력을 2027년까지 100% 수준으로 따라잡을 수 있도록 종합 연구단지를 구축할 방침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