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지표인 체질량지수(BMI)가 심혈관계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대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젊은 비만 환자는 심혈관계 질환 위험이 높은 반면 고령층은 저체중일 때 오히려 심혈 관계 위험이 커 약간의 과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형관ㆍ이현정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이용해 심혈관 질환이 없는 927만8,433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진행한 결과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대상자들의 비만도에 따라 심근경색, 심부전 발병 및 사망률에 변화가 있는지 추적 조사했다.
BMI 수치가 18.5~22.9인 경우를 정상 체중으로 보고 이보다 수치가 높으면 비만으로, 수치가 낮으면 저체중으로 판단했다. BMI는 자신의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눠 계산한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정상 체중일 때보다 비만이거나 저체중이면 심혈관계 질환과 사망 위험이 증가했다.
심근경색 위험은 20~39세 청년층에서 비만도가 높을수록 증가했다. 반면 40~64세 중년층에선 저체중과 비만한 경우 위험도가 높아졌다. 6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저체중일 때 심근경색이 더 많이 겪었다.
심부전은 전 연령층에서 비만과 저체중일 때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청년층은 비만률이 더 큰 영향을 받았고 중년층과 고령층은 저체중일 때 심부전증이 더 흔히 나타났다. 중년층과 고령층은 정상 체중이거나 비만 전 단계일 때 심부전 위험이 가장 낮았다.
연구팀은 “청년층은 비만하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반면 고령층은 근감소증으로 저체중이 되면 심혈관계 질환과 사망의 높아진다”며 “고령층은 체중이 감소하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과 식이 요법을 권장한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럽예방심장학저널’에 최근 실렸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