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데이터센터 건설 예정지 90% 수도권에 몰려..."국가 전력망 큰 문제 생길 수도"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단독 데이터센터 건설 예정지 90% 수도권에 몰려..."국가 전력망 큰 문제 생길 수도"

입력
2022.10.20 04:30
수정
2022.10.20 08:15
5면
0 0

현재도 IDC 60%가 수도권에 집중
IDC 전체 전력 사용량의 70% 사용 중
"정부가 비수도권 IDC 건설 조율해야"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가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장애 관련 대국민 기자회견을 연 19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의 로비 모습. 서재훈 기자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가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장애 관련 대국민 기자회견을 연 19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의 로비 모습. 서재훈 기자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의 직접 원인으로 꼽히는 데이터센터(IDC)를 건설하겠다고 신청한 9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운영 중인 IDC의 60%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가운데 앞으로 지어질 IDC마저 수도권에 집중되면 전력 공급을 위한 수조 원대 추가 비용 투입이 불가피해 국가 전력망 비효율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홍정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올 6월까지 IDC 건설 계획이 확정돼 전력 공급이 예정된 62호수 중 52호수가 수도권 지역에 쏠려 있다. 호수는 전기 사용자가 한전과 맺은 전력 공급 계약 건수를 말하는데, IDC의 호수당 전력 공급량은 계약마다 다르다. 공급되는 전기는 산업용이 아닌 일반용 전기다.

이에 따른 전체 예상 공급 전력량(3,789㎿) 중 수도권에 3,417㎿(메가와트)가 공급될 예정이다. 90%를 넘는 수준이다. 아울러 2019년부터 한전에 IDC를 짓겠다는 뜻을 밝힌 '전기사용예정통지'도 수도권에 약 92% 몰려 있다.

현재 운영 중인 IDC 상당수도 수도권에 쏠려 있기 때문에 IDC 쏠림 현상은 가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22년 6월 기준 현재 운영 중인 전국 IDC는 146호수 중 수도권 지역에 86호수(59%)가 몰려 있다. 이어 강원‧충청권 19%(28호), 경상권 15%(22호), 전라권 7%(10호) 순이다.

이들 IDC에 실제 공급되는 전력량을 보면 이런 현상은 더 심각하다. 전체 IDC에 공급되는 1,742㎿의 전력 중 70%(1,220㎿)가 수도권에 있고, 강원‧충청권 15%(251㎿), 경상권 12%(211㎿), 그리고 전라권 3%(60㎿) 순이었다.

게다가 정부가 이번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 이후 부실한 상태를 드러낸 재난 복구(DR) 시스템 문제를 의무화할 가능성이 높은데, 그럴 경우 IDC는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도권 쏠림은 심화할 전망이다. DR시스템은 특정 상황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실시간 복구를 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가장 수준이 높은 미러링이나 핫사이트 등의 조치를 하려면 또 하나의 '쌍둥이' IDC가 필요하다. 미러링은 재난 발생 즉시 메인 서버와 동일한 수준으로 복구하고, 핫사이트는 재난 발생 수시간 내 메인 서버와 동일 수준으로 복구하는 시스템이다.

문제는 이런 쏠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 부족 전력 공급을 위한 송·변전 계통 건설 및 운영 비용 등 막대한 비용이 필요해 국가 전력망의 효율화를 떨어뜨린다. 실제 전기를 만드는 발전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수도권에 전기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한전이 IDC 건설 의향을 밝힌 전기사용예정통지를 근거로 산정한 수도권에 늘려야 하는 변전소는 30개로, 10조2,000억 원이 필요하다.



건설 신청한 수도권 IDC 위해 10조 원 이상 필요

전국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현황

전국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현황


업계에선 미래 먹거리로 각광 받고 있는 IDC를 이용하려는 투기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2020년 이후 IDC 건설을 전제로 전기 사용을 신청한 62개 업체 중 절반가량이 부동산개발업, 자산관리업, 경영컨설팅업 등 소형 기업이거나 페이퍼컴퍼니로 추정되는 탓이다. 한 전력업계 관계자는 "현재 운영 중인 IDC는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유명 대기업인데 전기 사용을 신청한 업체는 IDC가 필요한지 알 수 없는 곳이 많다"면서 "수도권에 미리 땅을 확보하고 전기 사용 신청이 확정되면 IDC가 필요한 업체에 웃돈을 받고 되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홍정민 의원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더 높은 수준의 DR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 가뜩이나 포화상태인 수도권 IDC 수요도가 폭증할 것"이라면서 "수도권 전력 공급에 지나친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건설될 IDC는 비수도권에 위치하도록 정부가 조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아람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