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단 운영 않고도 가동한 것처럼
소방청 고위 관계자 피의자로 입건
소방청 "필요한 대응 충분히 수행해"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25일 소방청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특수본은 참사 당시 지휘체계와 관련한 소방청 공문서가 조작된 정황을 포착했다. 경찰과 함께 현장 대응의 양대 축인 소방당국의 책임을 묻기 위한 수사가 지휘부를 정조준하는 모양새다.
특수본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 내 소방청 119종합상황실 등 6곳에 수사관 22명을 보내 이태원 참사 관련 업무기록과 관련자 휴대폰 등을 확보했다. 앞서 특수본이 이달 2, 8일 각각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서울 용산소방서를 압수수색한 적은 있지만, 소방청이 강제수사 대상이 된 건 처음이다.
특수본은 소방청 중앙긴급구조통제단(중앙통제단)이 참사 당일 공문서를 허위로 작성했다고 보고 있다. 이 조직은 재난 상황 시 긴급 구조대책을 총괄 조정하고 구조 활동을 지휘ㆍ통제하는 최상위 기구다. 단장도 소방청장이 맡는다. 158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중앙통제단은 반드시 가동돼야 했다. 실제 소방청의 이태원 참사 구조 상황 보고서엔 지난달 30일 0시 중앙통제단 지휘차가 현장에 도착했다고 기재돼 있다.
그러나 특수본은 중앙통제단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그런데도 참사 후 작성된 문서에 가동된 것처럼 적시해 허위공문서를 작성ㆍ행사, 이를 주도한 소방청 고위 관계자를 입건했다.
소방청은 필요한 대응 조치를 충분히 수행했다는 입장이다. 당일 오전 충북 괴산에 지진이 발생하면서 꾸려진 중앙통제단을 사고 직후 오히려 확대해 운영했다는 것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오전 10시 30분 3개 부서 13명으로 괴산 지진 중앙통제단이 가동됐다가, 당일 오후 3시 30분 경북 봉화 갱도 고립사고 수습을 위해 2개 부서 11명 규모로 전환됐다. 통제단은 같은 날 오후 10시 15분 이태원 참사가 발생하자 3개 부 17명으로 확대됐다. 소방청 관계자는 "오후 10시 48분 소방 대응 3단계가 발령되면서 중앙통제단이 국가 소방력 동원령을 발령했다”고 설명했다.
하루 동안 기존 사고 수습을 위한 조직을 이어받은 만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중앙통제단을 꾸린 시간은 문서에 명시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참사 이후 이날까지 남화영 소방청장 직무대리가 맡고 있는 중앙통제단장 명의 문건은 모두 35건이다.
아울러 지지부진했던 참사 원인도 조만간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사고 현장을 재구성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분석 자료가 전날 특수본에 넘어왔다. 해당 자료엔 △사고 현장 도로의 경사도와 폭 △참사 전후 시간 변화에 따른 군집도 △보행자들이 넘어진 장소 등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담겼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