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돌연변이 추적하면 표적 치료제 효과 높여"
담낭(쓸개)은 지방의 소화를 돕는 쓸개즙을 농축·저장하는 주머니다. 여기서 생기는 암세포 덩어리가 담낭암이다.
담낭암의 전 세계 평균 발병률은 암 중에서 20위로 낮은 편이다. 하지만 한국(8위)을 포함한 태국·중국·칠레 등 일부 나라에선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데, 상당수가 진행된 후에야 발견되는 탓에 완치하기 쉽지 않다.
그런데 김지원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팀(강민수 교수, 병리과 나희영 교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안수민 교수)이 정상 담낭 상피 세포가 전암성 병변을 거쳐 원발 담낭암, 전이성 담낭암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이성 담낭암으로 사망한 환자 2명을 신속 부검해 다수의 정상 조직, 전암성 병변, 원발암·전이암 병변을 확보해 연구를 시작했으며, 담낭암 환자 9명을 추가로 분석해 담낭암 발병·전이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담낭암은 암 전 단계인 전암성 병변에서부터 세포들의 돌연변이 분포가 매우 다양했다. 전암성 병변을 이루는 돌연변이 세포 군집이 서로 경쟁하면서 원발 암(암세포가 처음으로 발생한 부위 암)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지원 교수는 “군집(클론)끼리 싸우는 과정에서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나온 '’자생존의 원칙’이나 ‘선택적 싹쓸이’가 적용되면서 원발 암으로 변하게 된다”며 “이렇게 진화된 원발 암을 구성하는 클론도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돌연변이를 획득하고 또 다른 경쟁을 거쳐 그 중 일부가 다른 장기로 전이됐다”고 했다.
이처럼 복잡한 과정이 담낭암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담낭암 치료가 어렵다는 것이다.
강민수 교수는 “담낭암의 대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는 전암성 단계에서부터 존재하지만 돌연변이 중 상당수는 암세포 일부에서만 관찰된다”며 “따라서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돌연변이를 가진 종양 클론의 시간과 공간적 변화를 추적해야 한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발표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