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지진 나흘도 되기 전 사망자 2만 명 넘어...시리아엔 구호물품 첫 도착
알림

지진 나흘도 되기 전 사망자 2만 명 넘어...시리아엔 구호물품 첫 도착

입력
2023.02.10 07:49
수정
2023.02.10 12:57
0 0

누적 사망자 수 2만...잔해 밑엔 "최대 20만 명"
시리아 서북부 '반군 지역'에도 국제 구호 손길

9일 밤(현지시간) 튀르키예 하타이주 안타키아의 지진 피해를 입은 한 마을에서 구조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뉴스1

9일 밤(현지시간) 튀르키예 하타이주 안타키아의 지진 피해를 입은 한 마을에서 구조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뉴스1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를 뒤흔든 강진의 누적 사망자 수가 9일(현지시간) 2만 명을 넘어섰다. 최대 20만 명이 아직 구조되지 못한 것으로 추정돼 그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지난 6일 새벽 발생한 강진으로 인한 튀르키예 내 누적 사망자가 1만7,134명으로 집계됐다고 이날 오후 밝혔다. AFP통신에 따르면, 시리아 당국과 반군 측 민간구조대인 ‘하얀 헬멧’이 밝힌 사망자 수도 합계 3,162명으로 늘었다. 이로써 두 국가의 누적 사망자 수는 총 2만296명으로, 세계보건기구(WHO) 예측치를 지진이 발생한 지 나흘도 되기 전에 뛰어넘었다.

앞서 캐서린 스몰우드 WHO 유럽지부 선임비상계획관은 “다음 주부터 사망·부상자 수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며 최악의 경우 이번 지진으로 인한 전체 사망자가 2만 명을 넘길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그런데 일주일도 채 지나기 전 벌써 이 ‘최악의 경우’가 현실화한 것이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사망자 수(1만8,500명)도 훌쩍 웃돌았다.

희생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튀르키예의 지진 연구자인 오브군 아흐메트는 “무너진 건물 밑에 여전히 갇혀 있는 시민들은 20만 명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영하의 날씨 탓에 잔해에 깔린 생존자들이 저체온증 등으로 사망할 가능성도 크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0만 명을 넘길 확률이 14%에 이른다는 관측을 내놨다.

일반적으로 지진 생존자의 90%가 구조되는 '골든타임' 72시간’을 넘겼지만, 현장에서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구조작업이 한창이다. 튀르키예 당국은 이날 기준 중장비 5,500여 대와 구조인력 11만 명 이상을 지진 피해 지역에 투입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56개국에서 날아온 해외 구호대도 6,479명에 달한다. 한국의 긴급구호대도 활동 개시 첫날 5명을 구조했다.

그동안 도움의 손길이 닿지 못했던 시리아 서북부에도 이날 첫 구호품이 도착했다. AFP통신 등 주요 외신은 구호물자를 실은 트럭이 시리아 서북부 국경을 넘어 반군 장악 지역으로 들어갔다고 전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튀르키예가 전 세계 95개국·16개 국제단체로부터 지원을 약속받은 것과 달리,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던 시리아는 상당수 국가로부터 직접 원조를 받지 못해 왔다. 특히 이번 지진이 발생한 시리아 서북부는 반군 장악 지역으로, 다마스쿠스 공항을 통해 직접 지원을 더 받기 어려워 ‘구호 사각지대’로 꼽혀 왔다.

이유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