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 대학 30개에 5년간 각 1000억원
교육부 "이 정도 쇄신은 해야"...예시 내놔
이주호 "정년까지 못한다는 교수, 못 기다려"
5년간 1,000억 원. 이런 파격적 지원을 받는 교육부의 '글로컬 대학' 선정 조건이 16일 공개됐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의 전면적 체질 개선'이다. 교육부는 대학 간 속도감 있는 통합, 학과 정원 폐지와 '무(無)학과 선발' 등을 혁신의 예시로 꼽았다.
이날 교육부는 '글로컬대학30 추진방안' 시안을 공개하고 첫 공청회를 열었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급감이란 상황에서 향후 10년이 대학 혁신의 '골든 타임'이 될 거라 예상하며, 글로컬 대학 사업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을 키워 지역까지 발전시키는 선순환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과감한 지원을 받기 위한 조건으로 대학의 '과감한 혁신과 도전'을 강조하며 6가지 유형의 해외 대학 혁신 사례를 제시했다. ①대학 간, 지역 연구기관 간 통합이다. 대학끼리 통합해서 유사 학과를 합치고 캠퍼스별로 기능을 특화한 사례로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시스템을 참고하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대학과 지역 연구기관이 통합해 연구기관 전문가를 교수로 활용한 사례도 거론했다.
②대학과 지역 산업 사이의 벽을 허무는 유형이다. 교수진을 기업 경영인으로 구성하고 학생이 창업 아이디어만 있으면 대학이 연구와 자금조달, 마케팅, 계약관리까지 지원하는 '창업 대학'이다. 이스라엘 테크니온 공과대, 미국 뱁슨 칼리지 같은 사례가 여기 포함된다.
③학문, 학과 간 벽 허물기다. 무학과 단일계열로 학생을 선발, 학생이 적성에 맞게 전공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공 선택을 위해 학점 경쟁을 벌이지 않게 학과 정원은 폐지한다. 모든 교육과정을 폐지하고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형식의 교육을 진행하는 미국 올린 공과대가 참고 사례로 제시됐다.
이 밖에 ④국적의 벽을 허물어 외국인 유학생을 50% 이상 유치하고 전 과목에서 한국어와 영어를 모두 사용하기 ⑤성인, 은퇴자를 대상으로 한 재교육을 학부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기 ⑥지역 산업에 맞춰 학과를 재편, 지역 기업별 1대 1 연구실 제공하기 등도 교육부가 꼽은 혁신의 사례다.
대학 통합, 학과 통폐합을 비롯해 구성원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힐 조건들이 상당하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공청회에서 학내 반발이 있더라도 과감하게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해 보라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교수) 정년 때까지 하지 말자는 분들의 시간을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없다"며 "실현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교육부가 구성원들을 설득할 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지원하고자 한다"고 했다.
교육부는 대상을 정하는 방법도 다른 대학 지원 사업과 차별화를 강조했다. 대학이 사업 기획서 제작 작업에 골몰하지 않도록 신청서는 핵심적인 내용만 담아 5쪽을 넘지 않도록 했다. '특정 대학은 무조건 된다'는 인식을 주지 않도록 평가는 정량 평가가 아닌 정성 평가로 하며 권역별 쿼터를 따로 정하지도 않는다. 비(非)수도권 30개 대학을 글로컬 대학으로 만들 계획이며, 올해는 7월에 10개의 대학을 지정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