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연한 봄 날씨에다 벌써 봄꽃들이 만발했다. 자칫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하지 않고 운동이나 야외 활동, 등산하다간 자칫 무릎 관절 연골이 손상될 수 있다.
김준호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충분한 준비 운동을 통해 근육을 풀지 않고 갑자기 활동하면 관절과 근육이 손상될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며 “산행이나 운동 후에 무릎이 붓고 통증이 있다면 연골 손상 혹은 퇴행성 무릎관절염이 원인일 수 있기에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게 좋다”고 했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대표적 증상은 무릎이 아프고 붓는 것이다. 앉거나 일어설 때, 평지를 걸을 때, 계단을 오르내릴 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무릎 움직임이 마음대로 되지 않기도 한다.
초기에는 계단을 이용하거나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통증만 느끼는데, 무리하지 않고 쉬면 증상이 줄어들기도 한다. 중기가 되면 연골 조직이 손상되면서 통증이 심해지고 오래 걸었을 때 무릎이 붓는다.
만약 이런 증상을 방치해 악화하면 걸을 때 심한 통증으로 걷기조차 힘들 수 있다.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심해 고통을 호소하거나 다리 모양도 변형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O자형 다리로 휘어지는 변형은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되면서 발생하기도 하는데, 악화 요인은 좌식 생활, 무릎 꿇는 자세, 산행 등이다.
퇴행성 무릎관절염 증상이 심해져 걷기 같은 일상생활이 힘들어지는 통증이나 강직이 있거나 약물 치료 등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만성화된 무릎 염증, 무릎 변형이 심하다면 수술해야 한다.
약물을 매일 복용해야 할 정도의 통증이라면 수술이 필요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수술 치료에서 환자 나이와 체중, 신체 활동은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노화와 관련성이 크다. 이 밖에 성별, 나이, 유전적 요소, 비만, 생활 습관, 운동 같은 신체활동 등 영향을 주는 요소는 다양하다.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골밀도가 낮아져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가 그 예이다.
퇴행성 무릎관절염 수술은 인공관절 수술이 주요 치료법이며, 절골술 및 부분 인공관절 치환술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고위 경골 절골술의 경우 2009년(1,359례)에 비해 2016년(1만1,232례)에 10배가량 증가했다. 수술법은 나이, 체질량지수(BMI), 관절염 범위, 심한 정도, 변형 정도에 따라 복합적으로 고려해 정하므로 무릎 통증이 있으면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