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해외 안 나갔던 2명 또 엠폭스 확진...현실이 된 지역 감염
알림

해외 안 나갔던 2명 또 엠폭스 확진...현실이 된 지역 감염

입력
2023.04.12 17:33
수정
2023.04.12 17:40
0 0

7·8번 확진자 서울 거주 내국인
현재까지 확진자 3명 해외여행 이력 無
6번 확진자 익명 감염원 확인 안 돼

엠폭스 바이러스 3차원 그래픽. 게티이미지뱅크

엠폭스 바이러스 3차원 그래픽. 게티이미지뱅크

해외 출국 이력이 없는 내국인 2명이 엠폭스(MPOX·원숭이두창)에 추가로 감염되면서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이 현실이 됐다. 국내 첫 지역 감염 사례인 6번 환자는 아직 감염원이 누구인지도 파악이 안 돼 엠폭스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 거주 2명 엠폭스 감염...누적 환자 8명

입자 크기가 150~200nm인 엠폭스 바이러스 전자현미경 사진. 질병관리청

입자 크기가 150~200nm인 엠폭스 바이러스 전자현미경 사진.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서울에서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엠폭스 환자가 발생했다고 12일 밝혔다. 두 명 모두 최근 해외여행을 한 적이 없는 환자이고 현재까지 두 환자 사이에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7번 환자는 지난 10일 발열 등 전신증상과 피부병변으로 의료기관을 찾았고, 엠폭스를 의심한 의료진이 관할 보건소에 신고했다. 유전자 검사 결과는 양성이었다. 8번 환자는 11일 오한과 피부병변이 생기자 스스로 보건소에 신고해 엠폭스로 판명됐다. 두 명 모두 3주 이내에 국내에서 밀접접촉이 이뤄져 질병청은 감염원 및 접촉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7일 확진된 전남 거주 국내 6번 환자에 대한 1차 역학조사에서는 첫 증상 발현 3주 이내에 부산을 방문했고, 감염원으로 추정되는 인물과 밀접접촉이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다. 6번 환자는 올해 들어 해외에 나간 적이 없는 첫 지역 감염 사례다. 6번 환자의 접촉자는 총 36명(고위험 3명, 중위험 23명, 저위험 10명)이고 현재까지 접촉자 중 의심 증상 보고는 없었다.

확인 안 된 6번 환자의 '익명 감염원'

엠폭스 의심 증상 시 행동 요령. 질병관리청

엠폭스 의심 증상 시 행동 요령. 질병관리청

엠폭스는 발열, 발진, 두통, 근육통 등을 동반하는 감염병이다. 아프리카 중서부 지역 풍토병인데 지난해 5월부터 전 세계로 확산했다. 국내에서도 작년 6월 22일 처음 발생했다. 이후 올해 3월 13일 5번 환자까지는 해외 유입이나 그와 관련됐지만 6~8번 환자는 모두 지역에서 감염됐다. 바이러스를 가진 채 국내에 들어온 감염원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엠폭스 잠복기가 짧게는 5일에서 길게는 21일인 것을 감안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감염원이 됐을 가능성도 있다.

6번 환자가 부산에서 밀접접촉한 인물도 이름이나 연락처 등을 알지 못해 이런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익명으로 만난 사이로 알려져 방역당국은 인터넷 ID 등을 통해 감염원을 추적 중이다.

외국에서도 지역사회 전파가 이뤄지고 있어 방역당국은 국내에서도 엠폭스 지역 감염이 일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최근 왕래가 많은 일본과 대만 등 서태평양 지역에서 발생이 늘어난 점도 국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한다. 일본은 지난해 환자가 8명이었는데 올해는 전날 기준 98명이 보고됐다. 지난해 환자가 4명이었던 대만도 올해만 21명이 발생했다.

며칠 새 국내 감염 사례가 잇따르자 방역당국은 곧 위기평가회의 등을 거쳐 엠폭스 감염병 위기경보단계 상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해 첫 환자 발생 직후 위기경보단계는 '주의'로 높아졌다가 8개월 만인 지난 2월 '관심'으로 내려갔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눈에 띄지 않는 부위에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빨리 증상을 자각하고 신고하는 게 중요하다"며 "피부가 닿는 밀접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특성상 대규모 전파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충분한 경계는 필요하지만 과도한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창훈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