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공실 옆에 또 공실... '신상' 대신 '입점문의' 빼곡한 동대문 패션타운

입력
2023.04.15 18:00
16면
0 0

'사드 논란' 이어 '코로나19'로 직격탄 맞은 동대문 쇼핑몰
비브랜드 의류 집합상가 중엔 공실률 90% 달한 곳도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의류 쇼핑몰 내 공실 사진 중 일부를 모아 하나의 건축물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합쳤다. 비브랜드 매장이 입점한 3대 쇼핑몰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곳에서만 600곳 이상의 공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한호 기자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의류 쇼핑몰 내 공실 사진 중 일부를 모아 하나의 건축물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합쳤다. 비브랜드 매장이 입점한 3대 쇼핑몰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곳에서만 600곳 이상의 공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의 빈 의류 매장에 '입접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의 빈 의류 매장에 '입접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한호 기자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의류 쇼핑몰 내 공실 사진 중 일부를 모아 하나의 건축물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합쳤다. 비브랜드 매장이 입점한 3대 쇼핑몰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곳에서만 600곳 이상의 공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한호 기자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의류 쇼핑몰 내 공실 사진 중 일부를 모아 하나의 건축물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합쳤다. 비브랜드 매장이 입점한 3대 쇼핑몰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곳에서만 600곳 이상의 공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한호 기자

‘S/S 신상’ ‘파격 세일’ 대신 ‘입점 문의’ ‘임대 문의’ 안내문이, 들뜬 손님 대신 헐벗은 마네킹이 무리 지어 서 있다. 휑한 매장에는 진작에 장사를 접고 떠난 이들이 미처 치우지 못한 흔적과 아직 떠나지 못한 이들이 야금야금 쌓아 놓은 적재물이 따끈한 신상을 대신하고 있다. 지난 12일 동대문 의류 쇼핑몰 한 곳에서 확인한 공실만 600군데가 넘었다. 이날 촬영한 공실 사진을 모아 연결해 보니 왠지 스산하다 못해 암울한 느낌마저 든다.

이날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대형 의류 쇼핑몰 내부는 대낮인데도 어두운 곳이 많았다. 모두 휴업이나 단축 영업을 넘어 아예 방을 뺀 매장들이다. 이 쇼핑몰의 공실률은 90%에 달한다. 그러다 보니, 영업 중인 상인들도 적막한 분위기를 달래려 삼삼오오 모여 담소를 나누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수년째 작동을 멈춘 로비 중앙 에스컬레이터를 걸어 오르니 손님은 기대하지도 않은 듯 곤히 잠든 상인의 머리가 매대 너머로 보였다.

이 쇼핑몰과 함께 한때 ‘패션 1번가’로 동대문을 상징하던 의류 집합상가 두 곳 역시 공실률이 각각 50%, 35%나 된다. 장·단기 휴업 중인 매장은 포함하지 않은 수치다. 세 곳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쇼핑몰의 경우에도 이날 직접 확인해 보니 층별 공실률은 최대 76%에 달했다. 그나마 가장 손님이 많은 1층조차 215개 매장 중 22개가 완전히 철수했다. 점점 느는 텅 빈 공간을 보고 고객들도 발길을 돌리는 악순환이 진행 중인 것이다.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쇼핑몰에 텅 빈 매장이 가득한 가운데 방치된 마네킹이 서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쇼핑몰에 텅 빈 매장이 가득한 가운데 방치된 마네킹이 서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쇼핑몰 통행로 한복판에 헐벗고 훼손된 마네킹들이 방치돼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쇼핑몰 통행로 한복판에 헐벗고 훼손된 마네킹들이 방치돼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쇼핑몰에 공실이 가득하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쇼핑몰에 공실이 가득하다. 이한호 기자

업계에선 동대문 패션특구가 2006~2007년 전성기를 맞은 뒤 크게 두 차례의 악재로 인해 쇠락하기 시작했다고 해석한다. 첫 번째는 '사드(THAAD)' 배치 논란이다. 당시 국내 패션 업계가 브랜드 제품과 온라인 쇼핑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중국 수요에 대한 의존도가 크게 높아졌는데, 사드 논란으로 '한한령'이 내려지면서 1차 직격탄을 맞았다. 두 번째는 코로나19다. 한한령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의 기미가 보이나 싶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중국을 비롯한 외국인 수요가 전멸하며 사실상 사망선고를 받게 됐다는 것이다.

원단부터 완성복까지 한 생태계에서 조달하는 동대문형 의류 산업이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는 시각도 있다. 관광특구 사무국 관계자는 “동대문의 강점은 좋은 옷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현재는 인건비가 너무 올라 가격 경쟁력을 잃었다”며, “2007년까지만 해도 동대문 시장 옷 중 95%는 국산 원단으로 짓고, 일부만 중국 원단으로 지었지만 현재는 비율이 반대다”라고 설명했다.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 매장에 임대 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 매장에 임대 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의 의류 매장이 공실로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의 의류 매장이 공실로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그와 같은 이유로 쇠퇴한 시장을 과감히 떠나 다른 업종을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동대문 의류 쇼핑몰처럼 점주들이 건물 지분을 나눠 갖는 집합상가가 전체 업종을 변경하는 것은 조합원마다 이해관계가 다른 지역 재건축조합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 것만큼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의류 산업이 활황이던 2000년대에 결정한 업종 규제에 아직까지 얽매여 있는 탓도 있다. 사무국 관계자는 “도매 시장은 그나마 아직까지 공실률이 15%대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나가는 업장이 많아진다”며 "동대문의 생존을 위해서는 업종 다양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공실률이 90%를 넘는 이 쇼핑몰은 복도 전등조차 켜져 있는 경우가 드물에 스산한 분위기가 들었다. 이한호 기자

공실률이 90%를 넘는 이 쇼핑몰은 복도 전등조차 켜져 있는 경우가 드물에 스산한 분위기가 들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의 의류 매장이 공실로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12일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 쇼핑몰의 의류 매장이 공실로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의류 쇼핑몰 내 공실 사진 중 일부를 모아 하나의 건축물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합쳤다. 비브랜드 매장이 입점한 3대 쇼핑몰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곳에서만 600곳 이상의 공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한호 기자

서울 중구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의 의류 쇼핑몰 내 공실 사진 중 일부를 모아 하나의 건축물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합쳤다. 비브랜드 매장이 입점한 3대 쇼핑몰 중 공실률이 가장 낮은 곳에서만 600곳 이상의 공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한호 기자



이한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