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거치며 취학 아동을 둔 부부 중 맞벌이 비율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부터 지역아동센터까지 모두 문을 닫는 와중에, 아이 돌봄을 위해 사표를 낼 수밖에 없었던 엄마(혹은 아빠)의 눈물이 수치로 확인된 것이다. 또 다른 감염병 대유행 시 이런 현상이 반복되지 않도록 지금부터 대비책과 매뉴얼을 마련해야 한다.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8~17세 아동(취학 아동)을 둔 부부가구 중 맞벌이 비율은 2019년 상반기 65.9%였다가 코로나가 발병한 2020년 상반기 60.5%로 뚝 떨어졌다. 2021년 상반기엔 59.3%로 더 떨어졌고, 일상 회복기에 접어든 2022년 상반기(59.7%)에도 반등하지 못했다. 아동이 없는 부부가구 중 맞벌이의 비율이 2019년 상반기(51.6%)와 2022년 상반기(51.7%)에 거의 변동이 없던 것과 대비된다.
맞벌이 포기로 인해, 취학 아동이 있는 부부가구의 월평균 취업소득은 2019년 상반기 314만 원이었던 것이 2021년 상반기 290만 원으로 줄었다. 보고서는 “아동이 있는 가구의 여성 고용률 변화가 크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며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돌봄 체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코로나19 기간 중 학교 문을 닫도록 하고, 학원 문은 열도록 하는 황당한 기준을 운용했었다. 이 때문에 가정소득에 따라 돌봄·교육격차가 더욱 커졌다. 본보가 지난 3월 보도한 ‘코로나 키즈, 마음 재난 보고서’ 기획 시리즈에서도 전문가들은 이 점을 적극 지적했다. “학교는 가장 늦게 닫고, 가장 먼저 열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돌봄교실, 지역아동센터 등 돌봄 거점 공간의 내실화, 안정화가 필요하다”(김항심 한국아동인권센터장) 등의 주문이 이어졌다. 아동 인권에 대한 것이지만, 아이 돌봄에 내몰리는 여성 인권과도 관련된 문제이다. 이번 통계를 토대로 정부는 세밀한 대응책을 세우길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