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히 일부 제외하고 모두 인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는 발언이 공수표에 그쳤다. 우리 군이 지난 5월 31일 북한이 쏘아 올린 우주발사체 '천리마-1형'과 탑재 위성체 '만리경 1호'를 인양해 분석한 결과, 군사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합동참모본부는 5일 "북한 우주발사체가 서해에 추락한 5월 31일 시작한 잔해물 탐색 및 인양작전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발사체를 쏘아올린 지 35일 만이다. 군은 감시전력을 운용해 북한의 발사체가 발사된 순간부터 추적했다. 잔해물 낙하구역을 설정해 해군 함정, 항공기, 심해잠수사 등을 투입해 탐색 및 인양작전을 수행했다.
합참은 "이번 작전을 통해 북한의 우주발사체와 위성체의 주요 부분을 인양하여 한미 전문가가 면밀히 분석했다"며 "정찰위성으로서의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군이 인양한 정찰위성 잔해 중에는 위성체에 달린 카메라 등 광학 장비나 부품, 광학 카메라가 들어간 경통 등이 일부 포함됐다. 군 소식통은 "온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북한 위성체의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인양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군은 인양한 만리경-1호 위성체의 사진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주요 부품 인양에 성공해 북한 군사정찰위성 능력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군은 또 북한 위성에 대해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밝혔지만, 그러한 결론을 내린 근거 등은 설명하지 않았다. 국가정보원이 북한의 발사 당일인 5월 31일 국회 정보위원회 현안보고에서 "길이 1.3m, 무게 300㎏급으로 해상도가 최대 1m 내외인 초보적 정찰 임무 정도만 가능한 소형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힌 것과 차이가 있다.
군은 만리경-1호가 북한이 지난해 12월 발사한 해상도 20m 수준의 위성 시험품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 시험품이 만리경-1호의 프로토타입으로 보이는 만큼, 6개월 사이 뚜렷한 기술적 진보를 거두지 못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당시 북한이 공개한 서울 시내 위성사진은 일반적 상업용 위성 성능에도 크게 미치지 못했다.
북한은 5월 31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서 만리경-1호를 탑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1형을 쏘아 올렸지만, 이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해 전북 군산시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추락했다. 북한은 이례적으로 위성 발사 실패를 공개 시인하면서 2단 엔진의 시동 비정상이 원인이라고 밝혔다. 군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약 1시간 30분 만에 낙하 해상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발견했고, 지난달 15일 3단 로켓인 천리마 1형의 2단부를 인양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