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 패쳘증 검사에서 음성이어도 패혈증 주의해야
각종 암, 말기 만성콩팥병(말기 신부전) 등으로 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 후 패혈증 등 감염성 합병증에 주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패혈증(sepsis)은 감염에 대한 인체의 비정상적인 반응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기능 부전이 생기는 질환이다. 온몸에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패혈증에 노출되면 30~50%가 목숨을 잃는다.
그런데 중증 질환으로 복부 수술을 받은 뒤 중환자실에 입원했다면 2차 배양 패혈증 검사에서 음성 결과가 나와도 패혈증 등 합병증에 노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은영(교신 저자)ㆍ이겨라(제1저자) 서울성모병원 중환자외상외과 교수 연구팀은 복부 감염으로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2차 배양 패혈증 검사를 진행한 결과다.
연구팀은 수술 후 패혈증 환자의 2차 배양 결과에 따른 임상 자료와 이를 바탕으로 복부 수술 후 2차 배양 음성 패혈증의 예측 인자를 파악하고자 했다.
패혈증을 진단하려면 환자 혈액이나 상처 부위 분비물을 채취하는 배양 검사를 진행하는데, 그동안 2차 배양 연구의 임상적 중요성은 1차 연구에 비해 많이 부족했다.
복부 감염으로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수술 후 패혈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포함했다.
1차 배양 검사는 수술 직후, 2차 배양 검사는 수술 후 48시간에서 7일 이내 시행했다. 대상자를 배양 양성 여부에 따라 배양 양성 패혈증군과 배양 음성 패혈증군으로 구분해 임상적 결과를 비교했다.
또한 수술 후 2차 배양 음성 패혈증의 소인 인자를 결정했다. 임상 결과에서 중환자실 내 및 병원 내 사망률은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패혈증으로 진행된 83명의 대상자 중 38.6%인 32명의 환자가 2차 배양 음성을 보였다. 패혈증 2차 배양 검사에서 음성이 나올 확률이 더 높은지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장 수술이 아닌 환자는 6.934배, 당뇨병이 없는 환자는 4.027배, 수술 전 항생제를 3일 이상 장기간 투여한 환자는 1.187배 정도 음성으로 진단됐다.
김은영 교수는 “복부 수술 후 감염성 패혈증은 수술에 성공해도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절한 항생제 치료 등 빠르고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라며 “환자가 장 수술이 아닌 수술을 받은 경우, 당뇨병이 없는 경우 수술 전 항생제를 3일 이상 투여한 경우에는 패혈증 배양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신체에 염증 반응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이겨라 교수는 “수술 후 패혈증 환자에서 2차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사망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배양 검사 결과가 음성이더라도 임상적 악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 국제 학술지 ‘아시아 수술 저널(Asian journal of surgery)’ 5월호에 실렸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