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에 최대 5배 오른 채소
"물가지수에 채소 비중 1.69%뿐"
소비자 체감 물가와 괴리 가능성
폭우 피해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밥상 물가’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정부는 2%대 물가 상승률이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급 부족으로 물가가 일시 반등하더라도 전반적인 안정세가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체감 물가와 물가지수 간 괴리가 큰 상황에서 물가 안정에 바탕을 둔 물가정책이 체감 물가를 잡는 데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미지수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주요 채소 도매가격은 폭우가 시작되기 전보다 최대 5배 가까이 뛰었다. 폭우 전 청상추 4㎏은 1만9,052원이었으나, 폭우 피해로 가격이 약 4.7배(9만360원) 급등했다. 적상추(346.6%)와 오이(246.7%), 시금치(207.4%), 깻잎(80.2%) 등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급등한 농산물 가격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정부 생각은 다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일시적 수급 불안으로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예상되지만 물가 흐름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21개월 만에 2%대에 진입(2.7%, 6월 기준)한 물가 안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자신하는 건 농산물이 전체 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가중치도 적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계의 소비지출액 비중이 높은 460개 품목의 가격변동분에 가중치를 반영해서 계산한다. 해당 지수에서 채소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1.69%에 불과하다.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 물가 상승폭이 크더라도 물가 상승률 산출엔 제한된 정도만 반영되는 것이다. 다만 아직 오지 않은 폭염(8월), 태풍(9월) 등을 고려하면 이 같은 ‘물가 괴리’는 더 커질 수 있다.
기상 악재가 생활 물가를 넘어 전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역대 최장 장마로 기록된 2020년 9월 당시 출하량이 줄자 채소류(34.7%) 가격이 급등했고, 이는 물가 상승률을 0%대에서 1%대로 밀어올렸다. 기재부 관계자는 “물가 둔화세가 꺾일 것으로 보진 않지만 변동성 우려가 제기된 만큼 물가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