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액이 99억 달러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25%나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가격이 부진한 게 원인으로 분석되나 중국이 수출과 소비에서 모두 고전하고 있는 영향이 더 크다. 실제로 중국의 7월 수출은 14.5% 감소해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 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을 뜻하는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우리 수출에서 중국의 비중은 2018년 27%에 육박했다. 이후 꾸준히 감소해 이젠 20%선 아래지만 여전히 최대 수출 시장이다. 더구나 올해 초만 해도 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컸다. 코로나19로 닫혔던 중국이 3년 만에 '세계의 공장'으로 복귀하면 우리 수출도 늘 것으로 예상했다. 현실은 정반대다. 중국 의존도가 큰 우린 오히려 차이나 리스크에 노출됐다.
이러한 흐름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중 패권 경쟁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술과 안보가 하나가 되면서 미국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을 줄이고 있다. 다른 나라들도 중국 중심 공급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디리스킹’에 나섰다. 중국 내부적으로는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 게 큰 전환점이다. 청년실업률은 20%를 넘어섰고, 지방정부 부채 문제와 부동산 시장의 거품도 언제 터질지 모른다.
추경호 부총리가 9일 "수출 지역 품목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수출 지원 인프라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힌 건 이런 차이나 리스크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구체적 대책이 없는 건 아쉽다. 수출 회복과 물가 안정을 전제로 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유지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최근 국제 유가와 곡물가 상승은 이러한 우려를 더 키운다. 안일하게 낙관론을 펴기보다 대중 수출 의존도가 큰 한국 경제를 구조적으로 바꿀 긴 안목의 중장기 계획을 세우는 게 필요하다. 기업이 신바람 나 뛸 수 있도록 해 인도와 동남아 등 중국 대체 시장을 개척하고,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게 가야 할 방향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