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우리나라 성인의 5.4%, 먹고 싶은 식품 사지 못하는 상태

입력
2023.08.11 10:26
수정
2023.08.14 08:49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성인의 5.4%는 ‘먹고 싶어도 경제력 등 여러 이유로 해당 식품을 구매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스로 병원 방문 등 의료가 필요하다고 여겨도 역시 가정 형편 등 탓에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비율도 9.3%에 달했다.

1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박태영 성균관대 소셜이노베이션융합 전공 교수팀이 2013∼2015년과 2019∼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1만9,394명을 대상으로 식품 불안정과 미충족 의료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는 BMC의 국제 학술지(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최근호에 실렸다.

여기서 ‘식품 불안정(Food insecurity)’이란 낮은 소득 등 여러 이유로 인해 필요한 식품을 사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상태를 가리킨다. ‘의료 요구 미(未)충족(unmet healthcare needs)’은 의학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경제력 등 다양한 이유 탓에) 병원 치료 등을 받지 못하는 것을 뜻한다.

박태영 교수팀은 ‘지난 12개월 동안 의료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느꼈지만 받지 못한 적이 있는지?’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사람을 의료 요구 미충족 상태로 분류했다.

우리나라 전체 성인 중 4.5%는 중간 수준의 식품 불안정, 0.9%는 심각한 식품 불안정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9.3%는 의료 요구 미충족 상태였다.

중간 정도의 식품 불안정 상태인 사람이 의료 요구 미충족일 가능성은 식품 안정 상태인 사람보다 1.5배 높았다. 심각한 식품 불안정 상태인 사람이 의료 요구 불충족 상태일 가능성은 식품 안정 상태인 사람의 3.3배였다.

박태영 교수는 “식품 불안정과 의료 수요 불충족은 함께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며 “식품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식품 불안정성을 낮추는) 정책은 의료 이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특히 소외된 소수 집단에 장ㆍ단기적으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