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 커질수록 투자 매력 ↑
중앙은행 물가관리 능력도 중요
자본시장 규모가 커지고, 중앙은행 신뢰성이 확보되면 신흥시장국도 자국통화로 대외 자본을 조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흥국은 태생적으로 자기 화폐로 해외에서 돈을 빌릴 수 없다는 ‘원죄 가설(Original sin hypothesis)’에 대한 반박으로, 한국도 그 사례에 포함됐다.
14일 한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과장은 오태희·이장연 인천대 교수와 공저한 ‘신흥국 원죄의 소멸 원인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원죄 가설은 기축통화국이 아닌 신흥국의 경우 자국 통화로는 대외 자본 조달이 불가능한 구조적 취약성을 갖고 있고, 아무리 노력해도 극복할 수 없다는 이론이다. 배리 아이켄그린 UC버클리대 교수와 리카르도 하우스만 하버드대 교수가 1999년 주창한 이래 학계와 정책 당국 모두에 큰 영향을 줬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신흥국의 자국 통화 표시 대외부채 비중이 높아지면서 원죄 가설의 정당성에 의문이 제기됐고, ‘원죄의 소멸’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한 과장은 “우리나라의 경우도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됐던 2000년대 적지 않은 외국인 자금이 채권과 주식시장에 들어왔다”며 “통념적으로 받아들여지던 원죄 가설과 배치되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2005~2019년 한국 등 21개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채를 중심으로 한 신흥국 채권시장 발달이 ‘원죄’를 소멸시킨 주요인이었다. 공공부문 채권시장 규모와 외국인이 보유한 신흥국 통화표시 채권 잔액이 강한 양의 관계를 보인 것이다.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유동성이 개선되자 투자 매력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 과장은 “투자자들은 전부터 신흥국 채권을 살 의사를 갖고 있었는데, 물건이 없어 못 사고 있었던 것”이라며 “채권시장 규모를 키우는 건 신흥국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실제 물가가 물가 목표치에 근접할수록 해외투자자가 더 많은 신흥국 통화표시 채권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 채권을 보유한 해외투자자들은 해당 국가의 통화가치 변동에 민감해 중앙은행 신뢰성을 중시하는데, 물가 안정을 통화당국 신뢰성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증거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주식시장으로의 자본유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됐다.
결국 ①자본시장 육성을 통해 유동성을 높이고, ②물가안정목표 달성으로 중앙은행 신뢰성을 확보하면 신흥국도 충분히 자국 통화로 대외자본을 조달해 원죄 가설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다. 연구진은 “양호한 경제여건을 갖춘 신흥국의 경우 더 이상 반드시 외화표시 채무에 의존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