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가계부채, 정책 의지에 달려... 부동산 띄우기 자제할 수 있나"
알림

"가계부채, 정책 의지에 달려... 부동산 띄우기 자제할 수 있나"

입력
2023.08.24 13:53
수정
2023.08.24 13:55
0 0

이창용 한은 총재 기자간담회
"불황 왔을 때 유혹 견딜 수 있는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8월 금통위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8월 금통위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가계부채 관리 대안으로 경제 성장과 더불어 관계 당국의 정책적 의지를 언급했다.

이 총재는 24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국제통화기금(IMF) 근무 때 유심히 살펴봤는데, 부채를 축소(디레버리징)하면서 위기를 겪지 않는 경우는 드물었다"고 밝혔다. '경착륙 없는 디레버리징 전례가 있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특히 가계부채가 대폭 줄어든 경우는 보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부채는 공권력을 동원해 구조조정으로 빚을 탕감하거나 타 기업에 인수시키는 등의 방법을 쓸 수 있지만, 가계부채는 개인이 대출받은 것이라 조정이 어렵다"고 부연했다.

그만큼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에 가계부채 관리는 결국 정책 의지에 달렸다고 짚었다. 이 총재는 "불황이 오면 제일 쉽게 할 수 있는 게 대출해 줘서 부동산을 띄우는 것"이라고 지난 30년을 복기했다. 그러면서 "또 불황이 왔을 때 이런 유혹을 견딜 수 있는지(가 관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를 지표로 삼는다는 점에서 "경제가 너무 침체되지 않게 경제성장률을 올리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가계부채가 늘어난 원인으로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와 집값이 바닥을 쳤다는 심리"를 제시했다. 그러나 "현재 금통위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과 가계부채로 인해 금리 인상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금리인하 기대는 시기상조라는 점을 확실히 했다. 다만 현재는 "그간 해온 규제완화 정책 양을 조절하는 등 미시적 대응이 먼저"라며 "아직 (금리인상과 같은) 거시적 대응에 나설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윤주영 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