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전통예술보다 거품이 많은 현대미술 가격

입력
2023.08.27 12:00
25면
0 0
김승민
김승민영국 왕립예술학교 박사

편집자주

김승민 큐레이터는 영국 왕립예술학교 박사로 서울, 런던, 뉴욕에서 기획사를 운영하며 600명이 넘는 작가들과 24개 도시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미술 시장의 모든 면을 다루는 칼럼을 통해 예술과 문화를 견인하고 수익도 창출하는 힘에 대한 인사이더 관점을 모색한다.

영국 런던 사치예이츠 갤러리 개관 전시 'Bathers(목욕하는 사람들)'

영국 런던 사치예이츠 갤러리 개관 전시 'Bathers(목욕하는 사람들)'

2002년 한ㆍ일 월드컵의 뜨거운 열기는 영국 런던까지 전해졌다. 당시 필자는 런던에서 논문을 쓰고 있었다. ‘컬렉터들의 눈길이 현대미술로 향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사실 이 주장은 당시 ‘전통예술 수집’ 열풍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었다. 논문 인터뷰에 응했던 예술 시장 전문가들조차 “그렇게 판단하기 너무 이르지 않을까”라고 우려했다.

하지만 그 후 몇 년 지나지 않아 미술시장에는 현대미술 바람이 불어닥쳤다.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페어 등 엔틱 아트페어로 몰리던 수집가들은 현대미술을 다루는 스위스 ‘아트 바젤’로 발길을 돌렸다. 경매소에서도 현대미술 작품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20년이 흘렀지만 현대미술 바람은 겉으로는 여전해 보인다. 신흥 부자와 돈의 흐름이 현대미술 유통 지역을 중심으로 거대한 흐름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프리즈 아트페어가 서울에 ‘프리즈 서울’(9월 6~9일 코엑스)이란 이름으로 문을 여는 이유와도 관련이 있다.

2000년 런던에서 시작한 프리즈 아트페어는 같은 도시에 개관한 테이트 모던(Tate Modern) 미술관과 함께 현대미술 시장을 세계로 분산시켰다. 현대미술 화랑이 지구 곳곳에 새로 형성됐고, 기존 화랑들도 앞다퉈 전 세계에 지점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작가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전시 횟수가 늘면 언론 관심을 받게 되고 자본도 몰린다. 한국도 이에 편승했고, 신진 컬렉터 그룹도 뒤질세라 그 파도에 올라타는 것이다. 단적인 예로, 신사임당의 ‘화조도’(花鳥圖)보다 세계적으로 활동 중인 작가의 현대 미술작품이 더 비쌀 정도다.

하지만 전문가 입장에서 현대미술 부문에 ‘버블’이 존재한다는 점을 말씀드리지 않을 수 없다. 이미 코로나19 확산으로 미술 시장에 몰렸던 가격 거품이 빠지고 있다. 현대미술 열기는 계속되겠지만, 전통예술이 돌아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로 올해 가장 주목받았던 전시는 지난 4월 암스테르담 라익스 뮤지엄에서 진행된 17세기 네덜란드 작가 얀 페르메이르(Jan Vermeerㆍ1632~1675) 회고전이었다. 개막 사흘도 안 돼 입장권 45만 장이 동났고, 관객들 아우성에 20만 장을 추가 발매했더니 이번엔 미술관 예매시스템이 다운됐다. 영국 런던의 사치예이츠 갤러리에서 '목욕하는 사람들'(Bathers)이라는 주제로 열린 전시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 윌리앙 아돌프 부그로(1825~1905)의 작품 등 17~18세기 작품들이 다수 전시됐고, 전시 초반에 이미 팔릴 정도였다.

곧 열릴 ‘프리즈 서울’에서 전통예술의 흐름도 챙기려면 프리즈 마스터스(Frieze Masters)로 가보길 권유한다. 2017년 창립된 프리즈 마스터스는 고대 시대 걸작부터 20세기 후반까지의 수천 년에 걸친 예술 작품을 제공한다. 아마 1,800여 년 전 고미술품을 일컫는 ‘올드 마스터’(old masters)와 대작의 의미를 담은 ‘마스터피스’(masterpiece)에서 따왔으리라.

놀라운 점은 프리즈 마스터스의 기준이 ‘20세기 후반’이라는 점이다. 즉 1999년 작품도 ‘전통예술’ 작품으로 묶었다. 테이트 모던 미술관이 2000년 개관할 때만 해도 어떤 작품을 테이트 모던에 두고 어떤 작품을 내셔널 갤러리에 둘지 고민했다. 그 과정에서 도출된 기준이 ‘1900년’이다. 같은 피카소 작품이라도 1902년에 그렸으면 테이트 모던으로, 1899년 작품이면 내셔널 갤러리로 간 것이다. 그로부터 20년이 흘렀는데 기준은 변하지 않았고, 21세기 ‘현대미술 작품’만 부피가 거대해졌다. 그사이 고미술품 화랑 및 앤티크 페어가 하나둘 문을 닫았고 그 역할을 다시 프리즈가 흡수했다.

컬렉터들은 곧 ‘올드마스터 작품은 가격 거품이 덜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이런 작품들은 오랜 세월 인정받은 작품의 의미가 적지 않아 보는 재미도 있다. 마스터스에서 미술사조에 거론되는 작가의 어떤 드로잉이 거래될지, 한국의 고지도(古地圖)는 어느 정도 인정받을지, 청화백자 가격은 얼마나 올랐는지 등 현대 미술작품의 가격 그래프와 비교해 보면 어떨까? 물론 아무리 작품이 상품화돼 돈을 빼놓곤 거론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는 우리 삶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예술이 내 삶을 바꿔놨지만, 특정 작품의 가격이 삶을 바꾸지 않는 것이랄까.

김승민 슬리퍼스 써밋 & 이스카이 아트 대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