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혈류량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혼합형 치매를 더 정확히 진단하는 길이 열렸다.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예병석 교수, 강석우 강사, 연세대 의대 뇌연구소 전세운 교수 연구팀은 뇌 혈류량 증감에 따라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 루이소체병이 동시에 발병하는 ‘혼합형 치매’를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알츠하이머병협회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최신호에 실렸다.
치매 원인이 되는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루이소체병, 뇌혈관 질환 등 50가지가 넘는다.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원인 질환이 같이 발생하는 것을 혼합형 치매라고 한다. 주로 알츠하이머병과 루이소체병이 동시에 발병한다.
혼합형 치매를 앓으면 단독형 치매 환자보다 인지 기능과 신체 기능의 저하 속도가 더 빠르다. 전체 치매 환자의 50% 정도가 혼합형 치매를 앓지만, 대부분 혼합형 치매가 아닌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받는 것에 그친다. 루이소체병 원인이 되는 단백질 침착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가 없기 때문이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뇌 속에 쌓여 측두엽처럼 기억력을 담당하는 부분 기능을 떨어뜨린다. 루이소체병은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뇌 안에 쌓이면서 신경세포를 공격해 도파민 분비를 감소시키고 환시(幻視), 인지 기능의 기복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 등록된 치매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양전자단층촬영(PET) 검사를 진행해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의 침착과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인한 도파민 분비 저하가 뇌 혈류량 증감 및 치매 증상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두 단백질이 각기 다른 뇌 부위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침착은 내측두엽 혈류를 감소시켰고,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인한 도파민 기능 저하는 해마(海馬) 혈류를 증가시켰다.
이런 혈류 변화는 특정한 증상을 일으켰다. 내측두엽 혈류 감소는 기억력 저하 등 전반적인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한 반면, 해마 부위 혈류 증가는 집중력, 시공간 기능 저하를 보이는 인지 기능의 변동, 환시를 일으켰다.
연구팀은 각 질환을 유발하는 단백질로 인해 발생하는 혈류량 변화 차이가 혼합형 치매 발병을 확인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예병석 교수는 “혼합형 치매 환자에게 나타난 증상이 다양해 정확히 진단을 내리는 것이 매우 어렵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단독형 치매 환자보다 인지·신체 기능이 떨어지는 속도가 빠른 혼합형 치매 환자에서 조기 진단·치료를 진행해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