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생기업(스타트업)이 인공위성으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을 감시하는 일에 나선다.
국내 초소형 인공위성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는 18일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대 기후연구실과 함께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여부를 파악하는 위성을 국내 최초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나르샤 프로젝트로 명명된 이 기술은 대기 중 메탄가스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온실가스 배출 여부를 파악한다.
인공위성 본체는 나라스페이스가 개발하고 여기 탑재하는 감시 카메라는 한국천문연구원,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분석해 메탄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은 정수종 서울대 교수팀이 맡는다. 이뿐만 아니라 나사의 제트추진연구소,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비영리 환경보호단체 환경보호기금(EDF)도 연구에 협력한다.
메탄가스는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6대 온실가스 중 하나다. 이산화탄소보다 온난화 유발 효과가 80배 높아 최악의 온실가스로 꼽힌다. 이 업체에 따르면 1850년 산업화 이후 지구 온도가 섭씨 1.1도 상승했는데 이 중 메탄가스가 약 40%인 0.5도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메탄가스는 대기 중 머무는 시간이 짧아 배출량을 줄이면 빨리 사라진다. 정 교수는 "메탄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 등 가스의 공급, 분배, 사용 시 다량 배출된다"며 "정확한 배출 지점만 알아도 바로 줄일 수 있어 메탄가스 배출 감시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메탄가스 배출 감시가 지상 관측소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전국을 대상으로 관측하거나 다른 나라의 배출 현황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업체가 개발한 위성을 활용하면 메탄가스 배출이 많은 지역을 찾아내거나 특정 지역의 메탄가스 배출량 추이를 주기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박재필 나라스페이스 대표는 "메탄가스 배출을 감시하는 소형 위성을 대량 개발해 무리 지어 운용하면 지구 전체의 메탄가스 발생원을 실시간 수집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환경 정보를 얻지 못해 발생하는 무역 손해를 줄이고 탄소 배출권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