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 주변 상권엔 큰 영향 없어"
알림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 주변 상권엔 큰 영향 없어"

입력
2023.09.20 19:14
수정
2023.09.20 19:31
0 0

4년간 마트 주변 상권 카드매출액 분석
마트 휴업일 주변 매출 되레 1.7% 감소

20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20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대형마트 의무 휴일 제도가 주변 상권 매출을 높이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히려 대형마트가 쉬면 주변 상권 매출이 소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서울 시내 대형마트 66곳 반경 1~3㎞ 이내 상권을 대상으로 4년치(2019~2022년) 일별 카드 매출액과 통신사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마트가 휴업한 일요일에 주변 생활밀접업종 매출액은 마트가 정상 영업한 일요일과 비교해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는 0.9% 줄어드는 데 그쳤다. 대형마트 휴업과 주변 상권 매출은 사실상 무관하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다.

대형마트가 의무적으로 쉬면 마트 주변의 자영업자 매출이 올라갈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작 대형마트 휴업으로 반사 이익을 본 곳은 온라인 유통업이었다. 마트 휴업 일요일의 온라인 유통업 매출액은 마트 영업 일요일에 비해 13.3% 증가했다. 심지어 마트가 휴업한 직후 월요일에도 19.1%나 올랐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소비 패턴이 비대면으로 전환되고 온라인 유통이 활성화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대형마트 매출액도 팬데믹 이후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해 지난해까지도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6월 일평균 매출액을 살펴보면 2019년 6,644만 원, 2020년 5,634만 원, 2021년 5,400만 원, 2022년 5,220만 원으로 매년 줄어들었다.

주철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대형마트 의무 휴업이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토대로, 대형마트 주변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맞춤형 지원정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보고서에는 대형마트 영업으로 인해 실질적 영향을 받는 전통시장 매출 분석은 빠져 있다. 서울신용보증재단 측은 “소상공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진행된 연구”라며 “전통시장은 전용 상품권과 현금 거래가 많아, 카드 매출액을 기준으로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표향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