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르포]폐전선에서 배터리 소재로…정읍 SK넥실리스 동박 공장 가보니
알림

[르포]폐전선에서 배터리 소재로…정읍 SK넥실리스 동박 공장 가보니

입력
2023.10.17 04:30
17면
0 0

'머리카락 20분의 1' 두께 동박 30㎞ 뽑아내
찢어지거나 주름 안 생기도록…"기술력 덕분"
국내서만 연간 전기차 130만 대 분량 동박 생산

전북 정읍시 SK넥실리스 동박 공장에서 한 직원이 동박 롤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있다. SKC 제공

전북 정읍시 SK넥실리스 동박 공장에서 한 직원이 동박 롤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있다. SKC 제공


#. 머리카락처럼 생긴 불그스름한 선들이 커다란 포대에 담겨 있다. 다 쓴 전선에서 뽑아낸 얇고 긴 구리 스크랩이다. 바닥에는 지름이 3m쯤 되는 납작한 원통형 수조(용해조)가 여럿 있다. 구리 스크랩을 이 수조 안에 옮겨 담으면 폐전선이 변신을 시작한다. "수조에는 황산액이 들어 있어요. 이 액체는 본래 맑은데 구리를 담그면 '황산구리 도금액'으로 바뀌면서 색도 파랗게 됩니다." 임기영 SK넥실리스 동박생산팀장이 동박을 만드는 첫 단계를 설명했다.

지난달 18일 찾은 전북 정읍시 SK넥실리스 제3공장에선 원재료 구리를 녹여 도금액을 만드는 공정(용해공정)이 한창이었다. 동박은 구리를 고도의 공정 기술로 얇게 만든 막이다. 이차전지(배터리) 속 음극의 집전체 역할을 하는 핵심 소재다. 전기차 한 대에 40㎏ 정도 들어간다. 공장에 들어오기 전 동박 전시실에서 본 얇은 금빛 포일은 폭이 넓은 두루마리 형태로 말려 있었는데 원재료를 보니 그 생산 과정이 얼른 그려지지 않았다.

공장 내부는 모든 것이 멈춘 듯 정적뿐이었다. 사람의 역할이 적고 대부분 공정이 수조 아래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용해조 아래에서는 도금액이 여러 탱크를 돌아다니며 24시간, 365일 구리를 녹여내고 있다고 한다. 하루에 100~150톤(t)의 폐전선이 재료로 쓰인다. 김동우 SK넥실리스 동박공정기술개발팀장은 "메인 탱크에서 배관을 통해 돌고 있는 도금액이 각 탱크 아래에 있는데 원재료인 구리를 여기에 넣는다"며 "도금액을 한번 만들면 버리지 않고 계속 쓰기 때문에 이 용액에 불순물 없는 상태로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동박을 만드는 원리는 간단하다. 전해액 수조 양끝에 양극과 음극을 설치한 뒤 전기를 흘려주면 이온이 이동한다. 음극에 달라붙은 구리는 물레방아처럼 도는 드럼 모양의 제박기에 붙어 올라온다. 김 팀장은 "드럼의 반원 아래쪽 절반은 도금액에 담겨 있는데 거기서 도금 공정이 이뤄진다"며 "구리가 회전하는 드럼 겉면에 붙으면 한 바퀴 도는 사이 공기에 노출되면서 박리된다"고 설명했다.



세계 1위 동박 기술? "얼마나 얇게 박리시키는가" 관건

동박 생산 공정. SK넥실리스 제공

동박 생산 공정. SK넥실리스 제공


세계 1위 동박 기술의 '레시피'는 여기 숨어 있다. 이차전지용 동박 롤 제품은 수십 ㎞에 이른다.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동박을 찢어지지 않게 만드는 데 노하우가 필요하다. 김 팀장은 "머리카락의 20분의 1 두께인 동박을 넓게 뽑아내려면 찢어지거나 주름이 생기기 쉬운데 그걸 없애는 게 기술력"이라며 "제박기는 사흘을 돌려야 하는데 이걸 펼치면 서울~천안 거리"라고 설명했다. SK넥실리스는 2021년 세계에서 가장 얇은 4㎛ 두께의 전지박을 1.4m의 광폭으로 총 30㎞ 길이로 뽑아내는 데 성공했다. 세계 최초다.

앞서 회사는 이런 기술로 2013년 세계에서 처음으로 6㎛ 두께 동박 양산에 성공했다. 2017년엔 최초로 5㎛ 동박을 제작했다. 지난해에는 세계 최초로 초고강도 동박(U 동박)과 원통형 배터리용 고연신(高延伸) 동박(V동박)을 개발했다.

연결된 통로를 따라 세계 동박 공장 중 높은 생산성을 자랑하는 4공장으로 향했다. 4~6공장은 최신 설비를 갖춘 신공장이다. 제박기 한 대당 생산량은 3공장 대비 30~40% 더 높다고 한다. 대부분 공정이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DCS)으로 이뤄진다. 질서 정연하게 놓인 제박기에 동박이 다 감기면 그때 비로소 직원이 범퍼카처럼 생긴 노란 차량으로 옮길 뿐이다.

200m쯤 떨어진 옆 방에는 형광등 빛을 받아 반짝이는 동박 두루마리가 9행 5열로 가지런히 줄 서 있었다. 이렇게 하루 동안 '숙성의 시간'을 보낸다. 서동석 SK넥실리스 ER지원팀장은 "물성(物性)이 퍼져서 균일해지는 데 하루 정도 걸려서 숙성 뒤 자른다"고 설명했다.

고객의 요구에 맞는 크기로 동박을 자르는 슬리팅 공정은 세차장 입구처럼 발이 드리운 구조물 안에서 이뤄졌다. 넓은 폭으로 만든 제품을 자르는 공간이다. 하늘색 옷과 모자를 쓴 직원 세 명이 세차기 모양의 설비 앞에 서서 컴퓨터를 들여다보며 어떤 제품을 자를지 결정하거나 꼼꼼히 제품 정보를 입력하고 있었다. 다른 한 사람은 동박을 잘라낸 뒤 구겨진 부분을 잘라내 버리면서 제품의 순도를 높이고 있었다.

11만5,700㎡(약 3만5,000평) 규모인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동박은 연간 5만3,000톤(t). 전기차 130만 대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규모다. 다음 달 상업 생산을 앞둔 말레이시아 공장과 지난해 공사를 시작한 폴란드 공장도 비슷한 크기다. 세 공장이 모두 가동되면 이 회사는 총 15만여 t의 동박을 생산할 전망이다.

정읍= 박지연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