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르포] 로봇이 일하는 아시아 최대 데이터센터 '각 세종'...네이버 "챗GPT 나오기 전 준비한 건 행운"
알림

[르포] 로봇이 일하는 아시아 최대 데이터센터 '각 세종'...네이버 "챗GPT 나오기 전 준비한 건 행운"

입력
2023.11.08 12:00
수정
2023.11.08 14:16
13면
0 0

로봇과 공존하는 데이터센터 각 세종 가보니

네이버의 두 번째 데이터센터 각 세종의 자산 관리를 담당하는 자동화 로봇 세로. 네이버 제공

네이버의 두 번째 데이터센터 각 세종의 자산 관리를 담당하는 자동화 로봇 세로. 네이버 제공


"챗GPT가 나오기 전에 '각 세종' 데이터센터(IDC)를 준비한 건 행운이죠."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6일 세종시 집현동 도시첨단산업단지에 둥지를 튼 네이버의 두 번째 데이터센터(IDC) '각 세종'의 가동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이 쏟아지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서 미래를 예측하는 건 쉽지 않다. 때마침 정보 처리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활성화되면서 핵심 기반 시설로 떠오른 IDC를 미리 구축한 걸 '행운'으로 표현한 것이다.

실제 생성형 AI 시대에는 자체 IDC 보유 여부가 인터넷 기업의 경쟁력을 가르는 요소다. 건물 설계 단계부터 시스템 운영에 최적화해 만드는 만큼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도 각 세종에 미래를 담았다고 했다. 기자가 둘러보니 초거대 AI인 하이퍼클로바X와 미래형 로봇 기술을 구현할 첨단 기술력의 집합소라는 느낌이 강했다.



축구장 41개 크기… 짐 나르기는 로봇 '가로' '세로' 담당

데이터센터(IDC) 서버를 관리하는 역할을 로봇 '세로'(왼쪽)와 '가로'에게 맡겨 자산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한다. 네이버 제공

데이터센터(IDC) 서버를 관리하는 역할을 로봇 '세로'(왼쪽)와 '가로'에게 맡겨 자산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한다. 네이버 제공


각 세종은 규모가 압도적이다. 부지 면적만 축구장 41개 크기인 29만4,000㎡에 달한다. 네이버의 첫 데이터센터인 '각 춘천'(10만 유닛 서버 수용)보다 여섯 배 큰 60만 유닛 이상 서버를 담을 수 있는 인프라를 갖췄다. 국립중앙도서관 전체 데이터의 약 100만 배에 달하는 수준인 65엑사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력 수전 용량도 각 춘천의 6.7배인 최대 270MW(메가와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단일 기업 IDC로는 아시아에서 제일 크다.

규모가 크다 보니 운영과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네이버가 보유한 첨단 기술이 대거 적용됐다. 네이버랩스가 자체 개발한 자동화 로봇인 '가로'와 '세로'가 무거운 짐 나르기를 담당하는 게 대표적이다. 자율운송로봇인 '가로'는 서버실과 창고를 오가며 무거운 자산을 운반한다. 한 번에 최대 400㎏까지 나를 수 있다. IT 창고의 핵심 자산인 서버를 관리하는 역할은 '세로'가 맡고 있다. 서버를 넣고 빼는 일을 사람의 개입 없이 수행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특히 세로는 각 서버별 자산 번호를 인식해 자산의 흐름도 관리할 수 있다. 가령 자산 재고 파악까지 로봇이 할 수 있는 셈이다.

네이버의 로봇 친화형 빌딩인 '네이버1784'에 적용된 자율주행기술도 각 세종에 고스란히 옮겨왔다. 네이버랩스의 풀스택 자율주행기술이 탑재된 알트비(ALT-B)가 각 세종에서 작업자의 이동을 돕는 '무인 셔틀버스' 역할을 한다. 드넓은 IDC에서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동선을 최적화했다고 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로봇과 자율주행을 활용한 운영 효율화는 미래의 10년을 먼저 생각하고 대비했다"고 강조했다.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데이터센터 지향

김유원(가운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세종시에 위치한 네이버의 두 번째 데이터센터 '각 세종' 개소를 알리며 각종 기술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 제공

김유원(가운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세종시에 위치한 네이버의 두 번째 데이터센터 '각 세종' 개소를 알리며 각종 기술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 제공


각 세종의 또 다른 고민은 '친환경'. 전력 소모가 많은 IDC 특성상 기존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다양한 자연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았다. 공조 시스템인 나무(NAMU·NAVER Air Membrane Unit) 설비를 개발해 자연 바람으로 '24시간 돌아가는' 서버실을 냉각한다. 세종시의 기후 변화에 맞게 바깥 공기를 적절히 냉방에 활용할 수 있게 설계된 것이다. 서버실을 식히고 나오는 열기는 버리지 않고 온수, 바닥 난방 등에 쓴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준비도 철저히 했다. 지진을 대비해 원자력발전소 수준의 건물에 적용하는 특등급의 내진 설계를 했다.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이 건물에 닿기 전에 진압할 수 있는 방수총을 설치하는 등 소방관이 각 세종에 도착할 때까지 화재를 스스로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췄다. 유사시 비상발전기도 72시간 가동할 수 있다.

각 세종을 구축한 네이버의 기술력에 대한 세계의 관심도 뜨겁다고 한다. 김 대표는 "다양한 국가와 산업의 고객들을 만나는데 네이버의 데이터센터 규모와 안정적 운영 역량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각 세종은 AI 클라우드 비즈니스의 전초 기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종= 김지현 기자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