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등과 5차 공동체 비상경영회의
경영진 향해 "변화에 적극 협력하라" 당부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은 27일 "전 공동체(계열사) 차원에서 준법·인사·재무 등을 밀착 관리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편하길 강력 권고한다"며 변화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카오 경영 프로세스 전반에 변화를 예고한 것으로 곧 이어질 '카카오표 인적 쇄신' 방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연관기사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7시 경기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등 핵심 경영진 20여 명을 모아 5차 공동체 비상경영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선 카카오가 그동안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의사 결정 구조와 책임 경영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들여 책임 경영을 강화하는 방안을 주로 다뤘다.
김 위원장은 "관리 프로세스에 느슨한 부분이 있는지 돌아보고 전 공동체 차원에서 준법, 인사, 재무 등에서 밀착 관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편하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말했다.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가 '스톡옵션 먹튀' 논란으로 사퇴한 것을 비롯해 카카오 재무 임원이 법인카드로 1억 원어치 게임 아이템을 결제하는 등 경영진의 일탈과 도덕적 해이가 잇따른 데 대한 질책으로 풀이된다.
특히 김 위원장은 경영진을 콕 집어 "변화에 적극 협력하라"고 당부했다. 카카오의 위기를 가져온 인사 시스템을 쇄신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카카오는 2024년 3, 4월을 기점으로 계열사 대표의 절반 이상인 77명의 임기가 끝난다. 카카오를 비롯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게임즈 등 주요 계열사가 여기에 속한다.
판사 출신 CEO 영입했던 네이버 사례 따라가나
문제는 인사 방향성이다. 업계에서는 카카오의 경영 리스크가 이른바 '김범수 사단'의 회전문 인사에서 비롯한 만큼 새 인물 영입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있다. 카카오 출신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를 비롯해 계열사 대표 대부분이 김 위원장과 동고동락했던 사이"라며 "내부에서 문제가 생겨도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 위원장으로서도 대기업식 경영 체계를 이식해줄 외부 인사가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카카오가 네이버 사례에서 해답을 찾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2000년대에 인터넷 시장 독점 논란과 사회적 책임을 충분히 하지 않았다는 비판으로 곤욕을 겪었던 네이버는 2009년 판사 출신으로 대기업(LG그룹)에서 일했던 김상헌 전 대표를 영입해 기업 운영 틀을 새로 짰다. 현재도 네이버를 공동 창업했던 김정호 카카오CA협의체 경영 지원 총괄이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하기 위해 출범시킨 준법과신뢰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지만 지원군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카카오가 각종 쇄신책을 잇따라 내놓자 얼어붙었던 시장 평가도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메리츠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카카오의 올해 4분기 실적이 3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