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은 3년 전 발행했던, 홍콩H지수 추종 주가연계증권(홍콩H지수 ELS) 상품 두 종류의 수익률이 -56%를 기록했다고 지난 18일 확정했다. 발행 금액은 총 140억 원으로 투자자는 3년 만에 78억 원가량 손해 본 것이다. 이미 올해 들어 지난 12일까지 국민 신한 농협 하나 우리 등 5개 은행에서 판매한 홍콩H지수 ELS 중 2,105억 원어치가 만기를 맞아 1,067억 원 손실이 발생했다. 증권사 손실 역시 이미 150억 원을 넘었다. 국내 금융권 홍콩H지수 ELS 판매 잔액(작년 11월 기준)은 19조3,000억 원으로 올해 상반기 만기도래 규모가 10조2,000억 원에 달한다. 홍콩 증시 상황이 급변하지 않는 한 3조~5조 원의 손실이 예상된다.
문제는 은행에서 판매한 각종 투자상품의 대형 손실이 2, 3년 간격으로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2019년 독일 국채금리를 추종하는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사태 이후 가입 절차 강화 등 투자자 보호 방안이 마련됐다. 투자상품 판매 시 투자 위험을 상세히 설명하고 그 과정을 녹취하는 등의 조치가 시행되고 있지만, 라임 옵티머스 등 사고가 터질 때마다 불완전 판매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금융당국은 다시 은행의 고위험 사모펀드·신탁상품 판매 제조 개선안을 만들어 3월께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위험 상품 가입절차 강화가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만큼, 투자상품의 은행 판매를 엄격히 제한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물론 금융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고, 투자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고객이 많은 은행을 통한 상품 판매가 필요하다. 하지만 은행 금리 상품에만 익숙한 금융소비자가 제대로 알지 못하는 ‘투자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막으려면, 고위험 고수익 투자 상품은 이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증권사에서만 판매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금융업 경쟁력 강화도 ‘투자자 보호’를 소홀히 한다면 공허한 구호일 뿐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