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지금 계약금부터 넣으세요"…GTX 호재에 부동산 '들썩'
알림

"지금 계약금부터 넣으세요"…GTX 호재에 부동산 '들썩'

입력
2024.01.26 18:00
9면
0 0

경기 파주, 수원, 광명 등 수혜 지역 반색
2기 GTX 1단계 개통 2035년…갈 길 멀어
"시장 침체기에 집값 급등 가능성 낮아"

정부가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을 공개한 25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 인근 GTX-A 노선 공사장 내부 터널에서 취재진들이 'GTX 공사 현장 설명회' 브리핑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을 공개한 25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 인근 GTX-A 노선 공사장 내부 터널에서 취재진들이 'GTX 공사 현장 설명회' 브리핑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매수 문의 전화가 많이 오니 집주인도 유혹을 느끼는 모양이에요. 집주인이 호가 올리기 전에 일단 계약금부터 넣으세요. 이 가격이면 잡아도 됩니다."

경기 평택시 지제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이 평택까지 연장된다는 정부 발표 후 매수 문의가 늘었느냐는 질문에 26일 이같이 답했다. 평택지제역 바로 인근에 자리한 이 아파트는 정부 대책 발표 뒤 시장에서 대표적인 수혜 단지로 거론된 곳이다.

정부가 전날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를 열겠다며 대대적인 GTX 사업 구상을 밝힌 뒤 교통 호재에 벌써부터 인근 지역 부동산이 들썩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만 정부의 사업 구상이 워낙 방대해 실제 착공과 개통으로 이어지기까진 시간이 적잖게 걸릴 걸로 예상되는 만큼 'GTX 마케팅'에 너무 휘둘려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 대책은 기존 GTX A·B·C 노선은 종점을 연장하고, 수도권에 D·E·F 노선을 추가로 깔아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를 열겠다는 게 골자다.

부동산 시장에선 정부 대책을 대형 호재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정부 대책 발표 뒤 회원 수 20만 명이 가입된 한 부동산 커뮤니티엔 GTX 관련 글만 390여 개가 올라왔다. 정부 대책에 따른 수혜 지역이 어디인지를 분석하는 글들이 대부분이다.

시장에선 GTX A·C노선이 지나는 경기 평택, C·F노선이 겹치는 경기 수원 등을 비롯해 GTX 신설이 결정된 경기 동두천시, 충남 천안·아산시, 수도권을 횡으로 종단하는 D노선(김포·인천~원주) 구간들이 수혜지역으로 꼽힌다. 예컨대 경기 광명은 D노선을 타면 서울 강남역까지 4개 정거장이면 갈 수 있다. 지금은 지하철로 가면 17개 정거장을 지나쳐 1시간 남짓 걸리지만 앞으로는 강남 접근성이 대폭 개선돼 지역 부동산의 GTX 기대감이 상당하다. 강원 춘천시와 원주시도 GTX 신설로 서울 접근성이 대폭 좋아질 것이라며 환영 입장을 냈다.


그래픽=김문중 기자

그래픽=김문중 기자


현재 주택 시장이 침체 국면이긴 해도 GTX발 호재는 집값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걸로 예상된다. 입지를 결정짓는 핵심인 지하철 건설 사업은 지정, 착공, 준공 등 세 번에 걸쳐 집값에 영향을 미친다. 1월 마지막 주 집값 추이(한국부동산원)를 보면 경기에서 김포 지역만 유일하게 0.04% 올랐다. 5호선 연장 결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경기 고양시 덕양구 집값도 하락을 멈췄다. GTX A노선(파주 운정~동탄) 개통시기가 다가오면서 이 지역 집값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존 유사 사례를 보면, 지하철 연장이 해당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것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가 2기 GTX 사업으로 명시한 GTX A·B·C 노선 연장과 D·E·F 신설이 현실화하기까진 갈 길이 멀다. 기존 B·C노선 개통 예상시점은 각각 2030년과 2028년이다. 2기 사업의 경우 1단계 개통 목표 시점이 2035년이다. 노선 연장은 지방자치단체 부담 원칙으로, D·E·F 신설 노선은 민간 투자를 유치한다는 계획인데, 업계에선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수도권 외곽을 지나는 E·F 노선은 출퇴근 시간이 아니면 이용 수요가 많지 않아 사업성이 떨어질 거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도 이런 비판을 의식, 경제성 등을 고려해 GTX 역이 변경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박덕배 금융의창 대표는 "앞으로 사업 추진까지 갈 길이 먼 데다 시장도 침체기여서 당장 집값이 과열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지자체가 어떻게 사업 자금을 조달할지도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