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이동자 수 612만8,738명
인천·충남·세종·경기·충북 5곳 순유입
'탈서울' 10개월째… 3만 명 넘게 유출
국내 인구이동 규모가 3년 연속 감소하면서 지난해 5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고령인구가 늘어난 점과 부동산 경기 둔화에 따라 줄어든 주택 거래량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고금리 시대에 높은 집값 부담 등으로 서울에서는 10개월째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다.
30일 통계청의 '2023년 12월 및 연간 국내 인구이동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긴 전국 이동자 수는 612만8,738명이다. 전년 대비 0.4%(2만3,417명)가 줄었는데, 이는 1974년(약 530만 명)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연간 이동자 수는 2021년부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2년 주택 거래가 얼어붙으면서 전년 대비 14.7%(106만1,267명)나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에도 감소한 것이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 주택거래가 일부 회복되면서 10월부터 12월까진 전년 동월에 비해선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 또한 12%로 1972년(11%) 이래 최저 수준이다. 연령별 인구이동률은 20대가 22.8%로 가장 높았고, 60대에서는 7%에 그쳤다. 20대 인구이동률도 3년째 낮아지는 추세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주택 매매량이 정체할수록 인구 이동이 감소할 개연성이 있고, 인구구조상 이동률이 낮은 고령인구는 느는 반면 저출산 영향으로 20대 인구는 계속 줄고 있다"며 "이사하지 않고 교통수단으로 오갈 수 있게 전국권 교통망이 좋아진 요인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 17개 시도 중 인천(1.1%)·충남(0.7%)·세종(0.4%)·경기(0.3%)·충북(0.2%) 등 5개 시도에만 순유입이 발생했다. 서울에선 3만1,000명이 순유출됐는데, 이 중 60.5%는 경기로 이동했다. 전입사유는 '주택'이 가장 많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