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소비 20% 추가 위축시킨
금리 상승 손해층에 대거 포함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족' 30·40대가 소비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 소비층인 이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전체 소비 수준을 끌어내렸을 것이라는 게 한국은행 판단이다.
25일 한은은 '가계별 금리익스포저를 감안한 금리 상승의 소비 영향 점검' 자료를 통해 소비 부진의 원인을 심층 분석했다. 최근 한은은 '수정 경제전망'에서 "소비가 당초 전망보다 부진하다"며 올해 민간소비 상승률 전망을 1.9%에서 1.6%로 0.3%포인트 낮췄는데, 이번 보고서는 후속 보고서로 발표됐다.
보고서는 먼저 금리 상승에 따라 재무적인 이익과 손해를 보는 그룹을 나눠 각각의 특징을 살펴봤다. 그 결과 '금리 상승 손해층'은 "연령 면에서 30·40대 비중이 높고, 소득은 중상층(4~7분위), 소비는 상위층(6~10분위)에 집중"돼 있는 특성을 보였다. 또 이들은 주택보유 비중, 수도권 거주 비중, 부채가 모두 높은 수준이었고, 부동산 담보대출 비중 역시 컸다. 영끌족이 금리 상승 손해층에 대거 포함됐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문제는 금리 상승 손해층의 소비 감소폭이 타 그룹('취약층1', '금리 상승 이익층') 대비 높다는 점이다. 2019년 대비 2022년 소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금리 상승 이득층은 소비가 소폭 증가한 반면, 손해층은 10% 이상 소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금리 상승 손해층은 절대적인 소비 수준 또한 높으므로 경제 전체의 소비 둔화에 대한 기여도도 클 것으로 보인다"고 첨언했다. 금리 상승에 따라 가계가 저축을 늘리고 소비를 줄이는(기간 간 대체효과) 자연스러운 현상만으로도 소비는 감소하기 마련인데, 금리 상승 손해층의 가계긴축 정책이 더해지며 "전체 소비를 20% 이상 추가 위축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물가가 안정됨에 따라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가계 소비도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물가 상승이 누적돼 물가 수준이 크게 높아진 점은 소비 회복 속도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가 증명한 것처럼 "소비활동이 왕성한 경제주체의 부채 확대는 장기적으로 소비 여력을 제한해 내수 부문의 역동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30·40대를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재차 확대되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당부도 더했다.
- 1 취약층
- 보고서는 금리상승으로 이득도 손해도 보지 않은 그룹을 '취약층'으로 명명했다. 이들은 유동·비유동자산이 모두 적어 부채를 낼 수가 없는 탓에 금리 상승의 영향을 적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