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64세까지 현역' 꿈꾸는 K직장인들···"현실은 58세에 퇴직할 듯"

입력
2024.03.02 04:30
13면
0 0

퇴직 후 경제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그래픽=강준구 기자

그래픽=강준구 기자


2023년 5월 통계청에서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총조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55~79세 인구 10명 중 6명은 여전히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전년 대비 34만9,000명 늘어남에 따라 이를 일컫는 ‘두 번째 스무 살’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며 익숙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실제로 퇴직 후 경제활동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을까. 언제까지,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기를 원할까.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팀은 2023년 12월 8~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퇴직 후 경제활동에 대한 인식을 알아봤다.


희망하는 은퇴 시기(66세) vs 예상하는 은퇴 시기(61세)

흔히 노후를 이야기할 때 퇴직과 은퇴를 혼용해 말한다. 퇴직은 ‘주된 일자리는 그만두지만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상태’, 은퇴는 ‘퇴직 이후 더 이상 경제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상태’로 구분된다.

조사 결과 퇴직과 은퇴 모두 희망하는 시기와 예상하는 시기 간에 명확한 차이가 확인된다.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람들은 64세까지 주된 일자리에서 일하고 싶으나 실제로는 58세에 퇴직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66세에 은퇴를 하고 싶지만 실제로는 61세에 은퇴할 것으로 생각한다. 자신이 희망하는 시기보다 5~6년 이상 빨리 주된 일자리를 그만두고 경제활동을 멈출 것으로 전망하는 것이다.

이러한 격차는 현행 정년 보장에 대한 인식에 기반한다. 이번 조사에서 정년이 ‘잘 보장되지 않는다’(56%)는 응답이 과반수를 차지한다. 즉, 사람들은 주된 일자리에서 법정 정년인 만 60세까지 일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며 실제로도 정년을 다 채우지 못하고 그만둘 것이라 예상한다.

더불어 사람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퇴직 시기와 은퇴 시기 역시 일치하지 않는다. 응답자는 자신이 58세에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하고 61세에 은퇴할 것으로 예상한다. 퇴직이 곧바로 은퇴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된 일자리는 그만두더라도 최소 3년 정도는 더 일을 하게 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퇴직 후에도 몇 년간은 더 일한 후에 완전히 경제활동을 멈추고 은퇴한다는 예상은 연령대나 가구소득 등과 관계없이 보편적이다. 18~29세는 자신이 53세에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6년간 더 경제활동을 한 뒤 59세에 은퇴할 것으로 생각한다. 정년을 앞둔 50대도 59세 퇴직 후 2년 후인 61세에 경제활동을 마치고 은퇴할 것이라고 본다. 가구소득 월 700만 원 이상 고소득층도 58세에 주된 일자리를 그만두더라도 은퇴는 62세에 하리라 생각한다.


"퇴직 후에도 경제활동해야 한다" 86%...'경제 요인' 55%


사람들은 퇴직 후에도 최소 3년간은 경제활동을 더 할 것이라 예상하며 또 경제활동을 할 필요도 인정한다.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에도 경제활동을 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사람은 86%이며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생활비(49%)와 부양비용(6%) 등 ‘경제적 요인’(55%), 자아실현(7%), 여가생활(10%), 건강 유지(11%)와 같은 ‘개인 생활 영유’, 사회 참여(9%)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7%) 등으로 다양하다.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크지만 개인생활 유지, 사회활동 등 비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퇴직 후 경제활동을 해야 한다고 보는 사람도 절반 가까이 돼 적지 않다.

60세 이상은 다른 연령대와 달리 유일하게 ‘경제적 요인’(46%)이 절반을 넘지 않는 대신 ‘개인 생활 영유’와 ‘사회활동 참여’는 각각 37%, 18%로 상대적으로 많다. 또한 현재 본인이 사회적으로 낮은 계층에 속해 있다고 생각할수록 ‘경제적인 요인’ 응답 비율(62%)이 높고 중상층이라고 인식할수록 ‘개인 생활 영유’(37%), ‘사회활동 참여’(20%)에 대한 관심이 많은 특징을 보인다.

퇴직 후 경제활동 이유에 따라 퇴직 후 일자리 선택 시 고려하는 점도 차이가 난다. ‘경제적 요인’ 때문에 퇴직 후 경제활동이 필요하다고 보는 사람들은 퇴직 후 새로운 일자리 선택 시 근로소득(58%)을 우선 고려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개인생활 영유’와 ‘사회활동 참여’를 주된 이유로 선택한 사람은 근로소득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후순위다. ‘개인생활 영유’를 선택한 사람은 건강상태(47%)와 근로시간(39%)을 고려하며, ‘사회활동 참여’를 선택한 사람도 건강상태(43%)와 근로시간(40%)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퇴직 후 일자리 정책을 설계할 때, 근로소득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근로시간이나 신체적 조건 등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법정 정년 연장’(85%)과 ‘퇴직 후 재고용’(85%) 모두 고려해야


지난해 9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법정 정년을 만 65세까지 단계적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내용의 국민청원을 제기했다. 곧바로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고령인력 활용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공감하나, 정년 연장이 아닌 재고용 중심의 계속고용 방식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표했다. 즉, 노사 모두 중·고령층이 현재 정년보다 더 오래 일해야 하는 상황의 필요성은 이해하나 그 방식을 둘러싸고 대립하고 있다. 노동계가 요구하는 ‘법정 정년 연장’과 정부 및 경영계가 제시하는 ‘퇴직 후 재고용’에 대한 의견을 알아봤다.

먼저, 전체 응답자의 85%는 현행 법정 정년(만 60세)을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인 만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정년퇴직 후 같은 일자리에서 재고용돼 일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 역시 85%로 많았다. 응답자는 근로시간이 줄어들거나 고용 형태가 불안정할 수 있다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재고용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현재 충돌하고 있는 노동계와 경영계의 입장 중 하나만을 채택하는 것이 아닌, 다각화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주로 사회적 쟁점이 되는 퇴직 후 경제활동 참여 방법은 법정 정년 연장이나 퇴직 후 재고용과 같이 주된 일자리를 유지하는 방안이다.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아예 직종을 바꾸는 ‘전직’은 우선순위가 아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55세 이상 취업경험자의 77%는 주된 일자리와 전혀 다른 일자리에 재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퇴직 후 전직에 대한 고령층의 관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식과 달리 전직을 위한 기회와 지원 제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뤘다. 55세 이상 취업경험자는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전직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이 87%로, ‘충분하다’(13%)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또한 전직을 지원하는 제도 역시 대부분이 ‘충분하지 않다’(91%)고 답했다. 현재 시행 중인 주요 중·고령층 취업 지원 제도(중장년내일센터, 중장년새출발카운슬링, 재취업지원서비스, 고령자인재은행)에 대한 인지도는 30% 내외에 머물렀다. 고령층은 지원 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있는 제도마저 체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전직을 준비할 때 가장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1+2순위)도 ‘새로운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는 기회 부족’(59%), ‘새로운 일자리에서 요구하는 자격 준비 부족’(35%), ‘새로운 일자리 취업을 지원하는 제도 부족’(29%) 순으로 나타나 결과를 뒷받침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약 82세로, 100세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그렇기에 중·고령층의 경제활동을 더 이상 그들만의 생존게임으로 치부할 수 없다. 지금까지 제시된 고령인구의 노동 촉진 방안은 매우 다양하며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도 복잡하다. 우리 모두 더 오래 일하고 싶어 하고 일해야 하는 상황이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근로 연한 연장 방안에 대해 점검하고 논의를 시작할 때다.



김지영 한국리서치 연구원
최호원 한국리서치 인턴연구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